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1705
한자 祠堂
이칭/별칭 가묘(家廟),사우(祠宇),사묘(祠廟),사(祠),각(閣),영당(影堂)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집필자 정경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사당 고천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고천리 245 지도보기
사당 귀천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치산리 1294 지도보기
사당 덕강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330-5 지도보기
사당 도계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383 지도보기
사당 도잠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 140 지도보기
사당 무원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왕산리 746 지도보기
사당 송곡서원 사당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애련리 227-1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 소재하는 조상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집.

[개설]

사당(祠堂)의 사전적 의미는 사대부가(士大夫家)를 비롯한 일반 민가에서 조상의 신위[신주]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집을 가리키며, 가묘(家廟)·사우(祠宇)·사묘(祠廟)·사(祠) 등으로도 불린다. 특별히 각(閣)이라 하여 격을 높이려 한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신 것을 영당(影堂), 왕실의 사당은 종묘(宗廟)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사당 제도가 시행된 것은 유교가 수용된 삼국 시대 이후이며, 고려 말 『주자가례(朱子家禮)』가 수용되면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주자가례』에 의하면, 사당은 집을 짓기 전에 먼저 지어야 하니 그 위치는 정침(正寢)의 동쪽으로 하고, 사당이 있는 집은 종자(宗子)가 대대로 지켜야 하며, 부득이한 때를 제외하고는 헐지 않는다고 하였고, 사당의 규모 및 형태, 주향 등에 대해서도 세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다만 집안이 넉넉하지 못하거나 집터가 좁을 경우는 한 칸만 세워도 된다고 하였다. 만약 사당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당방이나 벽감 등을 마련하여 조상의 신주를 모시기도 하였다.

사당을 건립 주체와 형태별로 구분해 보면 첫째, 관(官)과 지역 재지 사족(在地士族)의 주도로 교육 기관에 포함되어서 건립된 사당으로, 지방 공립 교육 기관인 향교(鄕校)에 포함된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廡)·서무(西廡)가 있고, 사립 교육 기관인 서원에 포함되어 건립되는 사당이 있다. 둘째, 문중(門中)에 의해 건립되는 경우로 주거 건축에 포함되어 건립되는 가묘 형식의 사당과, 다른 건물과는 별개로 독립된 공간에 건립되는 별묘(別廟) 형식의 사당이 있다.

[현황]

『문화유적분포지도-영천시』에 의하면, 영천 지역의 사묘로 조사된 건물은 47채에 이른다. 지역별로 보면 화북면에 1채, 금호읍·고경면·대창면에 각 2채, 영천시 내와 화북면에 각 3채, 북안면·자양면·청통면·화산면에 각 5채, 임고면에 6채, 화남면에 8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온전한 사당, 즉 제사(祭祀)와 향사(享祀)가 주기능인 사묘(祠廟)보다는 재실(齋室)의 개념이 강한 건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한편, 영천 지역의 사당을 건립 주체와 형태별로 살펴보면, 가묘 형식의 사당이 7채, 별묘 형식의 사당이 8채, 교육 기관에 포함된 사당이 15채로 조사되었다.

영천 지역의 사당은 교육 기관에 포함된 사당의 수가 가묘 형식의 사당이나 별묘 형식의 사당에 비해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이유를 살펴보면, 현재 교육 기관에 포함된 사당, 즉 향교와 서원의 사당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관리 주체가 관계 기관과 문중(門中)으로, 관리 주체가 명확해 비교적 유지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묘 형식의 사당 중에서도 문화재로 지정된 종택(宗宅)에 포함된 사당의 경우는 관리 상태가 양호하지만, 별묘 형식의 사당이거나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가옥에 포함된 사당의 경우는 퇴락이 진행되고 있다.

1. 가묘 형식의 사당

가묘 형식의 사당은 임고면 삼매리매산고택(梅山古宅) 사당과 동인각(東麟閣), 금호읍 오계리만취당(晩翠堂) 사당, 자양면 성곡리오회공종택(五懷公宗宅) 사당, 신녕면 화남리청류당종택(聽流堂宗宅) 사당, 화남면 사천리 가묘(家廟), 성내동 숭렬당(崇烈堂) 사당이 있다.

2. 별묘 형식의 사당

별묘 형식의 사당은 녹전동북계 영당(北溪影堂), 금호읍 오계리경제 사당(警齊祠堂), 청통면 우천리경모당(景慕堂), 북안면 도천리노계 사당(盧溪祠堂)[노계 가묘(盧溪家廟)], 임고면 선원리 환구세덕사(環丘世德祠), 자양면 용산리생육신 이경은(李耕隱) 선생 부조묘(不祧廟) 및 제단(祭壇)이 있다.

3. 교육 기관에 포함된 사당

교육 기관에 포함된 사당은 교촌동영천향교 대성전(大成殿), 신녕면 화성리신녕향교 대성전치산리귀천 서원(龜川書院) 사당 및 왕산리무원 서원(武原書院) 사당, 임고면 고천리고천 서원(古川書院) 사당과 우항리우고 서사(愚皐書社) 사당 및 양항리 임고 서원(臨皐書院) 사당, 삼매리자양 서당(紫陽書堂) 사당, 화산면 화산리덕강 서원(德崗書院) 사당, 북안면 도천리도계 서원(道溪書院) 사당, 대창면 용호리도잠 서원(道岑書院) 사당, 청통면 애련리송곡 서원(松谷書院) 사당, 자양면 용산리용계 서원(龍溪書院) 사당, 과전동창대 서원(昌臺書院) 사당, 화남면 삼창리회계 서원(悔溪書院) 사당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