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1777
한자 業谷齋舍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파계리
집필자 우경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 후기 추정 - 업곡재사 건립
현 소재지 업곡재사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용담로 1879-122[파계리 617]지도보기
성격 재사
양식 장혀수장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문화재 지정 번호 비지정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파계리에 있는 서도립(徐道立)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재사.

[개설]

서도립[1580~1632]의 자는 중수(仲修), 호는 동천(東泉)으로 봉사(奉事) 서경치(徐景致)의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3세에 노복(奴僕) 십여 명을 거느리고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종사하고, 1597년 정유재란 때는 화왕산성(火旺山城)에 근거지를 둔 홍의장군(紅衣將軍) 곽재우 휘하에 종군하여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가 되고 여러 차례 승직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府事)가 되었다.

[위치]

업곡재사는 영천시 고경면 용담로 1879-122번지[파계리 어부실]에 있으며 고경~건천 방면 727번 지방도에서 진입하는 농로를 따라 북으로 1.5㎞ 정도 올라가면 작은 못 앞에 개인 소유지 출입금지 표지판이 달린 철문에 다다른다. 여기서부터 걸어서 300m 정도 길을 따라 가면 민가 한 채 뒤로 업곡재사와 동천재가 나온다.

[변천]

업곡재사의 건립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정확한 건립연대를 밝히기는 어려우나 사용된 목부재의 상태나 건축기법이 조선 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업곡재사는 울타리 없이 단동으로 남서향하여 세워진 건물이다. 업곡재사 뒤로 10m미터 떨어져 동천재가 있다. 재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이며, 평면은 모두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측 2칸을 통칸 꾸미고, 방 전면에는 쪽마루를 설치하였다.

경사지에 건립한 건물로 기단은 전·후면의 높이차를 두어 축조하였다. 정면에는 막생긴 자연석을 허튼 층으로 690㎜ 높이로 쌓고 가운데 댓돌을 놓아 오르게 했다. 넓적한 방형의 자연석 초석을 놓고 기둥은 모두 각주를 세웠는데 단면 크기가 210×210㎜로 규모에 어울리는 튼실한 것을 썼으며 민흘림을 각각 두었다.

문은 사면 모두에 설치하였는데 정면에는 쌍여닫이 세 살문, 나머지는 외여닫이문을 달았다. 기둥 위에는 납도리와 장혀로 간략하게 꾸미고 가구는 3량 구조로 자연 곡재의 대들보 위에 키대공을 세우고 종도리를 받게 한 형식이다.

처마는 서까래만 쓴 홑처마에 맞배지붕 형식이며, 측면에는 박공만 설치하여 가구재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 도리와 장혀가 길게 빠져나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까치발로 보강해 놓았다.

[현황]

업곡재사 위쪽에 동천재가 있다. 업곡재사는 건물이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다. 지붕은 배면 우측 부분이 태풍 매미 때 함몰 붕괴된 상태로 우장막으로 임시 보강해 놓은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업곡재사는 동천재 보다 건립시기가 더 빠르고 사용된 목부재나 기법이 고식(古式)으로 영천 지역 재사 건축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