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2043
한자 平生儀禮
이칭/별칭 일생의례,통과의례,출생 의례,관례,혼례,상례,제례,회갑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집필자 문애리

[정의]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개설]

평생 의례는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일생을 마칠 때까지 삶의 중요한 단계마다 치러야 하는 여러 가지 의식으로, 그 단계를 지낼 때마다 다양한 지위와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단계별 평생 의례의 종류로는 사람이 태어나기 전부터 그 부모들이 행하는 기자(祈子) 치성을 비롯한 출생 의례(出生儀禮), 성인으로 인정받는 과정인 관례(冠禮), 한 가정을 이루는 절차로서의 혼례(婚禮), 그리고 죽음을 맞아 치르는 상례(喪禮), 죽은 이후에 그 후손에 의해 치러지는 제례(祭禮)가 있다.

영천 지역에서도 평생 의례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의례 방식은 크게 간소화되었지만, 단계별 절차는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되어 지속되고 있다.

[내용]

관혼상제의 사례(四禮)는 성리학적 이념이 관통된 공식적인 의례에 가깝다. 그러나 한 개인의 삶이 지닌 시간의 마디와 관련된 평생 의례는 이보다 더 포괄적이었다.

영천 지역의 평생 의례는 조선 시대 유교적 예법을 그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근래까지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그 형식과 절차에 있어서 변화를 갖게 되었다. 특히 제례의 방식은 대체적으로 전통 예법을 어느 정도 지키고 있으나 다른 단계들은 크게 간소화되거나 변화를 가져왔다.

산속(産俗)의 경우는 출산의 방식과 장소에 따라 의례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혼례나 상례 같은 경우는 전문 예식장의 보급으로 원래의 절차에 비하여 단순해졌다. 또한 특정한 종교의 영향으로 다양한 방식의 의례가 행하여지고 있다.

1. 출생 의례

출생 의례는 순조롭고 안정된 출산을 위한 절차로서 아이를 갖기 위한 기자 치성, 임신에서 출산까지의 산전 의례, 출산에서 돌까지의 산후 의례 혹은 육아 의례를 가리킨다.

영천 지역에서는 자신의 후손을 잘 자라고 번성하게 하려고 산속(産俗)과 관련되어 각양각색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러한 관습은 조선 시대부터 성행하여 현대에도 선별적으로 지킴으로써 육아 의례를 통한 아기의 무병장수를 기원하여 오고 있다. 영천 지역에서는 아들을 낳기 위해서 절에 불공을 드리거나, 무당을 찾아가는 일이 빈번하였다.

영천 시내에 살고 있는 김원조[1951년생] 씨는 수차례 유산을 한 끝에 딸을 두 명 낳았다. 그리고 아들을 낳기 위해 교촌동에 있는 절에 가서 100일 동안 불공을 드린 후 아들을 낳았다. 그 뒤로는 꼬박꼬박 절을 찾는다고 한다.

영천 지역에서는 호랑이나 구렁이같이 강하고 큰 동물의 경우는 아들을 낳는 것으로 믿었고, 반면 쥐나 토끼와 같이 작고 연약한 동물은 딸을 낳을 징조의 꿈이라고 보았다. 임산부의 배 모양을 보고도 아들과 딸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임신한 배가 펑퍼짐하게 퍼져 있으면 아들이고, 동그랗고 볼록하면 딸이라 믿는다. 임산부의 뒤태가 예쁘면 딸, 그렇지 않으면 아들이라고 믿었다.

영천 지역에서는 첫째 아이의 손목선을 통해서도 성별을 알 수 있다고 믿는다. 손목선이 팔찌처럼 동그랗게 이어지면 첫째 아이랑 같은 성별이며, 끊어져 있으면 다른 성별이라고 한다.

영천 지역에서는 임산부에게 오리고기를 먹지 못하게 하는데, 이는 오리고기를 먹으면 태아의 손과 발이 붓는다는 속신 때문이다. 닭고기도 닭살 피부가 된다고 하여 먹지 못하게 했다. 임산부는 음식을 먹을 때도 좋고 예쁜 것만 가려 먹고, 자리에 앉을 때도 모서리 등은 피해 앉도록 하였다.

영천 지역에서는 해산을 하고 나면 산모가 미역국을 먹는데, 큰 솥에 끓여서 하루에도 수차례 미역국을 먹는다고 한다. 미역국을 먹어야 젖이 잘 돌고, 몸을 보한다고 믿었다. 몸을 보하는 음식으로는 가물치를 푹 삶아서 먹기도 한다. 산후 젖이 잘 도는 음식으로는 돼지족이 있고, 젖을 말리려면 감주를 먹으면 된다고 한다. 젖몸살을 할 때는 콩나물을 푹 익혀서 수건에 싼 뒤 가슴에 올려 놓고 있으면, 젖몸살이 줄어든다고 한다.

2. 관례

성년 의례인 관례(冠禮)인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사회적 인준 절차이다. 남자는 관례, 여자는 계례(筓禮)를 행하여 아이와 어른을 구별하였다.

현재 영천 지역에서는 이러한 관례의 의식은 거의 없어지고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을 ‘성년의 날’로 정해 놓고 그 의례를 대체하고 있다. 영천 지역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년의 날이 되면 성년을 맞이하는 사람에게 향수나 꽃 등을 선물한다.

3. 혼례

혼례는 남녀가 만나 한 가정을 이루는 절차로서,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 하여 성혼의 예를 갖추고, 그 절차가 까다로워 격식이 엄격하였다. 그러나 다른 평생 의례와 마찬가지로 혼례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는 대중화된 예식장에 의해 혼례 방식이 보편화되었고, 불교·천주교·기독교 등의 특정 종교 의식으로 행하는 경우도 있다.

영천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연애를 통한 결혼이 많은 추세이다. 주위 친척이나 친구의 소개로 만난 뒤, 연애에서 결혼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많으며, 최근에는 결혼 정보 회사를 통한 혼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을 배우자로 맞이하는 경우도 있다.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혼례를 치르는 장소는 신부의 집이 대부분이었으나, 영천에 현대식 결혼식장이 들어서고, 서구화된 결혼식의 형태가 보편화되면서 신부의 집에서 혼례식을 올리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전통 혼례도 자취를 감추고, 함, 폐백(幣帛)과 같은 전통 혼례의 단편들만이 현대 결혼식에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4. 상례

상례(喪禮)는 사람의 죽음을 치장(治葬)하는 의례로서, 일생 동안 함께 살아오던 가족과 친지, 그 외의 모든 이웃과 영원히 이별을 고하는 마지막 길에 그 예를 다하는 절차이다.

영천 지역에서는 사람의 죽음에 대한 마지막 의례로서 가장 엄숙하면서도 공경과 슬퍼하는 마음으로 상례를 치러 왔다. 오늘날 영천 지역의 상례는 형식과 절차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출산이나 돌잔치·결혼·환갑과 같은 평생 의례보다 사회성이 강한 상례는 개인화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례보다 간소화되었다.

5. 제례

제례(祭禮)는 죽은 조상에게 효(孝)를 계속하라는 추원(追遠) 의식이다. 조상 대대로 이어져 온 자기의 존재를 인식하고 조상 숭배를 통하여 당내간 우애와 효도 신장을 오래도록 도모하고자 제례로 발전했던 것이다. 제례에는 사당제(祠堂祭)·사시제(四時祭)·기제(忌祭)·묘제(墓祭)·차례(茶禮)가 있으나, 오늘날에는 기제·차례·묘제[시사·시향·시제]만 지내고 있다.

기제는 사람이 돌아가신 날인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1년에 한 번 지낸다. 기일제는 자기를 기준하여 고조부모까지 4대조를 지낸다. 영천 지역의 기제 시각은 돌아가신 날 첫 시각인 자시(子時)에서 축시(丑時) 사이였다. 즉 자정을 넘기면서 지내던 것이 근래에는 바쁜 현대 생활의 편리에 의해 초저녁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졌다. 사실상 돌아가시기 전날 저녁에 기제를 지내는 관습으로 굳어져 버렸다.

과거 영천 지역에서는 아무리 추워도 제사를 마당에서 지냈다고 한다. 그것이 조상에 대한 정성스러운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제사라는 것 자체가 정성이고, 조상이 와서 밥을 먹는데, 자손이 앉아서 제사를 지내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일반적으로 제사는 마루나 방에서 지내고, 제관(祭官)들은 마당에 나와서 절을 했다.

전에는 제사를 지내면 가까운 친척들이 같은 동네에 모여 살기 때문에 8촌까지는 참석을 했다. 멀리 살더라도 제사에 참석하는 것은 기본이라 여겼다. 지금은 음식이 귀하지 않아서 제사를 지내더라도 평상시와 다를 바 없지만, 예전에는 제사를 지내고 나면, 밤이라도 마을 주민들끼리 함께 음식을 나눠 먹었다고 한다.

5. 회갑

회갑(回甲)은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에 의하면 61세에 해당하는 해로서, 60갑자가 다시 돌아온다는 뜻에서 회갑이라 하였다. 환갑(還甲)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60갑자를 새로 바꾼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옛날에는 60세까지 장수하기가 그리 쉽지 않았기에 회갑을 맞이하는 일은 집안의 큰 경사였으므로, 자손과 일가친척은 물론 이웃 마을과 지인들까지 불러 잔치를 벌여 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렸다. 회갑례의 상차림이 그 집안의 가세를 드러내는 척도였기에, 회갑상을 받는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로 여겼다.

영천 지역에서 현재 회갑보다는 칠순이나 팔순 때 큰 잔치를 하지만, 불과 20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회갑례는 모든 이에게 축복을 받는 커다란 경사였고, 잔치도 크게 치렀다.

1980년대 환갑잔치의 보편적인 모습은 집 앞마당에 큰 상을 차려놓고, 커다란 상 위에 음식을 높게 고여서 차려 환갑을 축하했다. 자식들은 환갑을 맞이한 부모님을 위해 친적과 마을 주민들을 모셔 정성껏 환갑잔치를 치렀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현재 환갑의 의미가 축소된 것이 사실이다.

[의의와 평가]

평생 의례는 한 개인이 태어나 생을 마칠 때까지의 의례이지만, 개인을 넘어서 가족과 지연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상호 간의 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한 개인은 일생의 연속적인 과정 속에서 가정을 이루고 공동체의 성원으로 역할하며 그 책임을 다하게 된다.

따라서 평생 의례는 한 개인에 국한되어 행하는 의례가 아니라 한 개인을 사회의 성원으로 인정하며 지위를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공동체 사회 구성원 모두를 화동하여 합하는 의례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