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안택고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2082
한자 安宅告祀
이칭/별칭 안택,무고안택,독경,재수굿,축원굿,소원굿,운수맥이,성주달래기,성주안택,성주굿,상달고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장소 성주고사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석섬리 지도보기
의례장소 안택고사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호당1리 지도보기
의례장소 성주고사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신광1리 지도보기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가신(家神)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개설]

안택(安宅)은 집안의 신들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한 의례로서, 지역에 따라서는 안택·안택고사·무고안택·독경·재수굿·축원굿·소원굿·운수맥이·성주달래기·성주안택·성주굿·상달고사 등과 같이 다양하게 불리지만, 그 축원적인 의미와 맥락은 유사하다.

안택고사(安宅告祀) 혹은 안택굿은, 그 유래가 분명하지는 않지만, 조선 후기 이래 독경무(讀經巫)가 주재한 무속 제의의 전통을 전승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정월 상원조에는 “소경[요고자(邀瞽者)]을 불러다가 보름 전날부터 안택경(安宅經)을 읽으며 밤을 새운다. 액을 막고 복을 비는 까닭이다. 정월이 다 가도록 계속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국세시기』 시월 월내조에는 “민가에서는 10월을 상달[上月]로 여기고 무당을 데려다가 성주신[成造神]을 맞이하여 떡과 과일을 진설하고 기도함으로써 안택을 바란다”라고 있어, 짐작컨대 민간에서는 정월과 10월에 안택굿이 널리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현황]

영천시 금호읍 석섬리에서는 성주고사라고 해서 가을에 햇곡식이 나면 성주가 좌정해 있다고 여기는 곳에 막걸리를 부어 놓고 고사를 지내며 이날 성주를 새로 매는 가정도 있다고 한다.

영천시 청통면 호당1리에서는 정월에 집안을 편안하게 해 달라는 의미에서 안택고사를 지낸다고 하며, 영천시 대창면 신광1리에서는 성주고사를 지내는데, 일 년에 정월·추석·동짓날에 세 번 지내지 않으면 가정에 우환이 생긴다고 하여 꼭 지냈다고 한다.

현재는 대부분 가옥 개량을 하면서 성주 신체가 사라지게 되었고, 일반 가정에서는 건궁성주를 모시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성주가 있던 자리에 상을 차리고 정성을 드리는데, 조왕까지 포함해 한꺼번에 고사를 올린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