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896
한자 仇吐峴烽燧址
이칭/별칭 구도현 봉수(九道峴烽燧)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철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 후기 - 구토현 봉수 축조
폐지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구토현 봉수 폐지
소재지 구토현 봉수 터 -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일대지도보기
성격 봉수
지정 면적 둘레 75m|잔존 높이 약 1.5~2.5m|잔존 폭 0.8~1.2m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북쪽 산봉우리에 있는 조선 시대 내지봉수대 터.

[개설]

봉수는 봉(烽)[횃불]과 수(燧)[연기]로 변경의 군사정보를 정해진 신호체계에 따라 중앙과 주변지역에 전하던 통신방법이었다. 봉수제는 고대 삼국 시대부터 원시적으로 활용되었으나 정례화한 것은 고려 시대였다.

이후 조선 세종 대에 크게 정비되어 1894년까지 국가적인 운영을 하였다. 조선 시대 봉수제는 노선 상으로 기간 봉수인 직봉(直烽)과 보조 봉수인 간봉(間烽)으로 구별하거나, 봉수대의 설치 지역과 기능에 따라 경봉수(京烽燧)·내지봉수(內地烽燧)·연변봉수(沿邊烽燧)로 나눈다.

경봉수는 조선 시대 전국의 봉수가 집결하였던 봉수로 서울 남산의 목멱산봉수를 이르며, 연변봉수는 지방의 해안 및 변경지역의 최 일선에 설치되었던 봉수였다. 내지봉수는 내륙 각지에 설치되어 서울의 경봉수와 변경의 연변봉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던 중간봉수로 조선 시대에는 주로 복리봉수(腹裏烽燧)로 불렀다.

구토현 봉수(仇吐峴烽燧)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북편의 해발 195m인 야산 정상에 있는데 주변을 조망하기 좋은 곳이다. 지형상 신녕천에 면하여 절벽으로 형성된 북쪽을 제외한 3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지를 이루고 있다.

구토현 봉수가 처음 축조된 시기는 조선 후기이며, 봉수노선과 성격상 부산 다대포진 응봉 봉수(鷹峰烽燧)에서 초기(初起)하여 서울 목멱산(木覓山)[남산] 봉수로 전달되던 제2로 직봉노선의 내지봉수이다.

조선 후기에 신설된 후 대응봉수와 노선의 변동 없이 일관성을 유지했는데, 남쪽 청통면 신덕리 소재의 성산 봉수(城烽山燧)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북쪽 신녕면 부산리여음현 봉수(餘音峴烽燧)로 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변천]

구토현 봉수가 문헌에 나타나는 것은 조선 후기 1765년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부터이며, 이후의 각종 지지서(地誌書)에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 새롭게 신설되었고, 1894년(고종 31) 전국 봉수제도가 철폐되면서 폐지되었다. 봉수 명칭은 대다수 지지서에 구토현 봉수(仇吐峴烽燧)로 기록되어 있으나 1895년에 발간된 『영남읍지(嶺南邑誌)』에 구도현 봉수(九道峴烽燧)라는 명칭도 보인다.

[현황]

조선 시대 내지봉수대에는 통상적으로 연조(煙竈)·방호벽·봉수군 주거·고사(庫舍) 등 봉수군이 주어진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기본시설이 갖추어졌다.

현재 청통면 계지리 북편의 해발 195m인 야산 정상부에 있는 구토현 봉수는 영천 지역의 봉수 중 유지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방호벽을 통해 본 봉수대의 평면 형태는 장축이 동서방향이고 단벽과 장벽이 이어지는 부분은 모를 죽여 둥글게 마감한 말각장방형(抹角長方形)이며 전체 둘레는 75m 정도이다. 출입구는 개방식 형태로 서쪽 방호벽을 폭 3.7m가량 절개하여 1개소에 시설하였다.

방호벽은 남쪽을 제외한 3면이 비교적 잘 남아있고 남쪽은 대부분 망실되었으나 봉수대 운영 당시에는 4면을 모두 토석혼축으로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방호벽의 잔존 높이는 약 1.5~2.5m이며 잔존 폭은 0.8~1.2m 정도이다. 방호벽의 구조는 작은 할석과 흙을 섞어 협축으로 축조하였다. 봉수 내부는 북고남저형(北高南低型)의 경사지를 이루며 거화시설인 연조는 북동쪽 방호벽에 붙여 설치하였으나 대부분 붕괴되어 정확한 구조는 파악할 수 없다.

[의의와 평가]

구토현 봉수는 조선 후기 『여지도서』 편찬 무렵에 신설되어 1894년(고종 31) 전국 봉수제도 철폐 시까지 운영되었던 제2로 직봉노선의 내지봉수였다. 영천 지역의 봉수 중 유구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방호벽·출입구·연조 등이 확인되며, 우리나라의 내지봉수 연구를 위한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