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효자가 얻은 명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2156
한자 鄭孝子-明堂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 영천시에서 발행한 『충효의 고장』에 「정효자가 얻은 명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
관련 지명 자양면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성격 전설|풍수담|지혜담
주요 등장 인물 정효자
모티프 유형 명당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 위치한 명당과 관련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정효자가 얻은 명당」은 조선 중종 때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효자의 지혜로 얻은 명당으로 인해 자손 대대로 복을 받았다는 일종의 풍수담(風水談)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6년 영천시에서 발간한 『충효의 고장』에 「정효자가 얻은 명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영천시 자양면 소재의 솔밭에는 고색창연한 기와집이 이어져 있는데, 이곳이 바로 정효자가 얻은 명당 일대이다. 효자의 이름은 정윤량(鄭允良), 호는 노촌(魯村)으로, 조선 중종 때 사람이다. 양반 가문의 후손으로, 아버지 선무랑 정차근이 기묘사화를 피하여 영천의 대전에서 이곳 노항으로 옮겨올 때 겨우 다섯 살이었다.

정윤량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이름 대신 ‘정효자’로 불렸다. 아버지가 병으로 자리에 눕자 어린 정효자는 더욱 지극하게 아버지를 모셔 옷을 벗고 자리에 누운 일이 없을 정도였다.

먹고 자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아버지 머리맡에서 병간호를 하며 어머니와 근심을 같이 하여 정성을 다하였으므로 보는 이마다 놀라며 탄복하였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애통해 하는 모습이 더할 수 없이 애처로웠다. 또한 장례를 치름에도 예법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었다.

이윽고 묘 터를 잡아 장례를 치르려는데, 백발 노승이 지나가면서 혼잣말처럼 “정효자 댁이 묘를 왜 이곳까지 와서 쓰는지 이상한 일이구나?”라고 했다.

그 말을 들은 상주 정효자는 하는 일을 중지시키고 부리나케 노승을 뒤쫓아갔다. 십 리쯤 가서 고개를 넘으니 기릉산 기슭에서 뜻밖에도 노승은 자신을 기다리고 있었다. “상주가 올 줄 알았네”라면서 노승은 지팡이로 혈(血)을 짚었다.

“이 혈은 기룡의 좌장혈인데, 부귀로 가운이 융성하고 위인이 날 징조라. 물 흐름이 보이지 않으니 부자도 날 것이요. 이와 같이 크고 귀한 곳은 바로 정효자 집안이 묘를 써야 할 것일세”라고 하는 것이었다.

정효자는 그를 집으로 모셔 후히 대접할 양으로 소매를 끌었으나 노승은 사양하며 길을 떠났다.

정효자는 노승이 알려준 곳에 묘를 쓰고, 여묘살이 3년을 마친 다음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업하여 뒤에 많은 제자를 길러 내었으며 훗날 향풍도 예법에 맞추어서 고친 명성이 높은 학자가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정효자가 얻은 명당」의 주요 모티프는 ‘명당’이다. 명당에 관한 전설은 곳곳에 많이 전해지는데. 이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일 것이다. 지극한 효성을 지닌 사람이나, 선한 사람 또는 성실한 사람은 명당을 부여 받아 자손 대대로 복을 받는다는 의식이 담겨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