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고구곡」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2250
한자 城皐九曲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종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702년연표보기 - 이형상「성고구곡」 창작
배경 지역 성고구곡 - 경상북도 영천시[호연정, 조양각 일대의 금호강]
소장처 병와유물관 - 경상북도 영천시 과전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
작가 이형상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인인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이 영천시를 관통하는 금호강 일대의 구곡원림(九谷園林)을 노래한 한시.

[개설]

성고구곡을 조성한 이형상[1653~1733]은 1700년 경주부윤을 사직한 후 금호강 가에 호연정(浩然亭)을 짓고 영천에서 은거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이후에도 벼슬살이를 전혀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오랜 세월을 영천에 살면서 학문 연구에 전심하여 경학(經學)·성리학·예학·역사·전기·지리·시문 등 다방면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가 호연정 일대의 금호강에 조성한 성고구곡은 자연환경의 변화와 하천 개발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를 비정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병와「성고구곡」 이외에도 이 일대의 자연을 노래한 「성고칠탄(城皐七灘)」·「구곡만팔기(九曲灣八磯)」 등의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구성]

「성고구곡」은 주자(朱子)의 「무이도가(武夷棹歌)」에 차운한 시다. 총론(總論) 1수와, 제1곡 범월병(泛月屛), 제2곡 서운암(棲雲巖), 제3곡 하수구(下水龜), 제4곡 만세정(晩洗頂), 제5곡 야연층(惹烟層), 제6곡 적파선(寂波墠), 제7곡 정부장(鼎扶莊), 제8곡 사박협(沙搏峽), 제9곡 청통사(淸通社) 등 굽이마다 1수씩을 읊은 9수로 모두 10수의 칠언절구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정치 현실에 대한 관심을 완전히 버린 것은 아니었지만, 벼슬에서 물러나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마음을 수양하며 유유자적하게 살아가는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10수의 시 가운데 제3곡 「하수구(下水龜)」에 해당하는 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삼곡서견하뢰선(三曲徐牽下瀨船)   셋째 구비 떠가는 배 천천히 당겨놓고

구암위석주위년(龜巖爲席酒爲年)   거북바위 자리 잡고 술로 해를 보낸다네.

림천자족연하취(林泉自足烟霞趣)   자연에서 이는 흥취 저절로 넉넉하니

하사공문만걸련(何事公門謾乞憐)   무슨 일로 관청에다 가련함을 구걸할까?

[특징]

일반적으로 구곡시(九曲詩)들은 주자의 『무이도가』를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3가지의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1곡에서 9곡까지를 도(道)에 나아가는 순서에 비유한 심오한 사상을 담은 형이상학적 시로 보는 경우, 도에 나아가는 순서와는 상관없이 자연에서 일어나는 흥취를 노래한 서정시로 보는 경우, 자연에서 일어나는 흥취를 노래한 서정시이지만 그 속에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보는 절충안의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이 가운데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자신이 지은 구곡시의 내용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성고구곡」은 작자가 3가지 입장 가운데 마지막인 절충안을 수용하고 이 시를 지었다는 점이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고구곡」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은 다른 구곡시들이 하류에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구곡을 설정했던 것과는 달리,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가면서 구곡을 설정했다는 점이 될 것이다.

[의의와 평가]

구곡문화는 산수가 아름답고 유학이 발달하였던 경상북도 지역에서 가장 발달하였다. 그러나 같은 경상북도라고 하더라도 안동·영주·봉화·문경 등 북부 지역에는 많은 구곡원림이 경영되었으나 남부 지역에서는 그리 흔치 않다.

그러한 점에서 경상북도 남부 지역인 영천에 조성된 성고구곡과 이를 배경으로 읊은 구곡시들은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 비정 및 각별한 보호 조치와 함께 주위의 문화 시설과 연계한 활용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