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문신 윤휴의 후손가에 전하여 오는 거문고 악보. 금보(琴譜)는 조선 후기 문신 윤휴(尹鑴)[1617~1680]의 후손가에 전하여 내려오는 필사본 거문고 악보이다. 1572년(선조 5) 안상(安瑺)이 편찬한 『금합자보(琴合字譜)』와 1610년(광해 2) 양덕수(梁德壽)가 엮은 『양금신보(梁琴新報)』를 초본으로 합하여 묶고, 다른 문헌에서 거문고 관련 글을 채록하여 부록에...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에 있었던 조선 후기 측우대.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大邱 慶尙監營 測雨臺)는 1770년 5월에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앞에 설치된 측우대이다. 측우대는 조선시대에 강우량을 측정하고자 만든 기구인 측우기(測雨器)를 올려놓고 강우량을 측정하던 대를 말한다. 1442년(세종 24) 5월부터 시작된 측우 제도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측우기가 대부분 파손되거나 유실되...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관 윤희손을 그린 초상화. 윤희손초상은 윤희손(尹喜孫)[1547~1579]의 아들인 윤효선(尹孝先)[1563~1619]이 제작한 윤희손의 초상화이다. 언제 제작되었는지, 누가 그림을 그렸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초상화의 주인공인 윤희손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조광조(趙光祖) 학통의 성리학을 이준(李準)과 이풍후(李風后)에게 수학한...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윤효전의 초상화. 전 윤효전 초상은 조선시대에 정일품·종일품의 문관이 달던 공작(孔雀) 흉배(胸背)[조선 시대에, 문무관(文武官)이 입는 관복의 가슴과 등에 학이나 범을 수놓아 붙이던 사각형의 표장(表章)]와 서대(犀帶)[조선 시대에, 일품의 벼슬아치가 허리에 두르던 띠]를 착용한 조선 후기 문신 관료 기천(沂川) 윤효전(尹孝全)[15...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있는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850년 이기정이 작성한 천문도. 분야도(分野圖)란, 고대 천문학에서 별자리를 구분하여 그린 천문도이다. 하늘의 적도를 따라 그 남북에 있는 별들을 스물여덟 개의 별자리로 나누고 이를 28수(宿)라 불렀으며, 지상을 다시 28수의 차례와 위치로 나눈 것이다. 옛 사람들은 28수의 별자리에서 변화가 생기는 것은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