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서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993
한자 伊陽書院
영어공식명칭 Iyang Neo-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성주 이양서원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신소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56년연표보기 - 이양서원 건립
이전 시기/일시 1790년 - 이양서원 가곡으로 이건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이양서원 훼철[서원 철폐령]
현 소재지 이양서원 터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지도보기
원소재지 이양서원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
성격 서원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계리에 있던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이양서원(伊陽書院)장봉한(張鳳翰)[1566~1644]과 장봉한의 아들 장이유(張以兪)[1598~1660]를 배향하였던 서원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활약하였던 장봉한과 아들 장이유가 성주군에 자리를 잡아 지금의 인동 장씨(仁同張氏) 집성촌을 이루었다. 장봉한이 임진왜란 당시 충의(忠義)로 칭송받았다면, 아들 장이유는 이황(李滉)[1501~1570]을 위해 변무소(辨誣疎)를 지어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 일컬어졌다.

[위치]

이양서원성주군 벽진면 봉계리에 있었다.

[변천]

이양서원은 1656년(효종 7)에 사림(士林)이 발의하여 장봉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다. 1656년에 장봉한의 위패를 봉안한 후, 1786년(정조 10)에 사림이 문회(門會)를 열어 향사(鄕祠)를 올렸다. 1790년(정조 14)에 가곡으로 이건한 후 이양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55년(철종 6)에 장이유를 추가 배향하였으며, 1868년(고종 5)에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형태]

당시 경내 건물로 사우(祠宇)와 신문(神門), 전사청(典祀廳), 동재(東齋), 서재(西齋), 중정당(中正堂) 등이 있었다.

[현황]

이양서원이 훼철된 이후 4칸의 계신재(繼愼齋)만을 신축하여 유림의 회합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양서원장봉한장이유를 추모하기 위한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훼철된 후에도 후학들의 강학 공간으로 활용되며 성주군의 중요 문화 유적이 되었다.

[참고문헌]
  • 『성주마을지』 (성주문화원, 2015)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https://ugyo.ne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