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에서 용이 놀던 소(沼)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가천면의 용소」는 성주군 가천면에 있는 용소와 관련하여 전하는 이야기로, 용이 가지고 놀던 바위를 깨트린 일본인이 죽음을 당하였다고 하고 있으므로 신이담에 속한다고 하겠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서 감응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감응사의 유래」는 신라 애장왕(哀莊王)이 바위틈에서 나는 약수로 앞 못 보는 아들의 눈을 뜨게 하여 약수가 있는 곳에 감응사(感應寺)를 지었다는 사찰 유래담이자, 그 산 이름을 신령스러운 독수리 즉 영취산(靈鷲山)이라고 불렀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문덕리에서 걸객에게 제사상을 차려 준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걸객에게 차려 준 제삿밥」은 걸객이 친기(親忌)[부모의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제사상을 차려 준 며느리가 정승 아들을 낳았다는 이야기로, 남에게 은혜를 베푸니 큰 복이 되어 돌아왔다는 일종의 보은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서 관운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관운사의 유래」는 성주군 성주읍에 소재한 관운사(關雲寺)와 관련해 전하는 사찰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에서 용소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금수면의 용소와 이무기」는 성주군 금수면 마산(馬山)에 있던 용소(龍沼)에 관한 신이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기름 주머니를 기워 준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기름 주머니 집어 준 효부」는 가난한 집으로 시집온 며느리가 시어머니의 구멍 난 기름 주머니를 정성으로 기워[집어] 주었는데, 기름 주머니 덕분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잘살게 되었다는 효부담이자 난제 해결담이다. ‘집다’는 ‘깁다’의 경상도 사투리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서 나권령과 명당 터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권령의 명당 터」는 도깨비 관련 발복담으로, 광포 전설로 널리 전승되는 설화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노는 복으로 부자된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노는 복 빌어 부자 된 사람」은 나무를 두 짐 하면 한 짐이 사라질 정도로 복이 없는 사람이 신세를 한탄하다가 옥황상제에게 가서 노는 복을 빌어 와 잘살았다는 치부담(致富談)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에서 여우를 퇴치한 담기 센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담기 세서 부자 된 사람」은 가난하고 자식까지 많은 남자가 명절 쇠기가 두려워 집을 떠났다가, 그곳에서 꿈속 노인의 도움으로 여우를 퇴치하여 부자가 되었다는 여우 퇴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각시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가면 각시 바위」는 각시 바위와 신랑 바위가 있는 칠봉산(七峯山)과 관련한 이야기로, 나라를 어지럽힐 큰 인물이 나올까 두려워 그 맥을 끊었다는 명당 쟁취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에 있는 장수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가면 장수 바위 발자국」은 힘센 장수로 태어난 아기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하늘로 올라가면서 바위를 밟았는데, 지금도 그 발자국이 바위에 남아 있다는 일반적인 아기장수형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에서 기우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황산 기우제(大皇山祈雨祭)」는 과거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에 가뭄이 들면 민간에서 비 내리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는 이야기를 다룬 기우제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 마족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마족혈 무덤과 명당 터」는 성주군 초전면 소성동 서쪽에 있는 마족혈(馬足血)의 유래 전설로, 명당 자리에 묫자리를 써서 후손이 잘되었고, 말이 잘 다니게 석물과 비석을 세우지 않아 ‘마족혈’로 불렸다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서 무비 진사와 까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비 진사와 은혜 갚은 까치」는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사는 성주 이씨(星州李氏) 정언공파 후손인 이달우라는 진사(進士)가 구렁이에게 잡아먹힐 위기에 처한 새끼 까치를 구하자, 까치가 죽어 가는 이달우를 살려 은혜를 갚았다는 보은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오도리에서 효자 박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박구 효자 이야기」는 효자 박구가 추운 겨울에 잉어와 복숭아 등으로 병든 어머니를 섬기고, 어머니가 죽은 뒤에는 시묘살이까지 한 후 높은 벼슬을 하였으며, 박구의 효성에 감동한 임금[명종]이 효자문을 하사하였다는 효자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고산리에서 백세각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세각의 전설」은 성주군 초전면 고산리에 있는 백세각(百世閣) 유래 전설로, 성주 출신 인물 송희규(宋希奎)가 집 이름을 백세각으로 지어 후학을 양성하였다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서 뱀 신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뱀 신랑의 슬픈 운명」은 상체는 사람이고 하체는 뱀의 형상을 가지고 태어난 뱀 신랑이 이웃의 부잣집 셋째 딸에게 장가를 갔으나, 허물을 잘 보관하라는 금기를 지키지 못하여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수촌리에 있는 말구유와 유허비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성주군 벽진면 수촌리 765번지에 있는 경수당(敬收堂)에는 벽진 이씨(碧珍李氏) 시조 이총언(李悤言)의 유허비(遺墟碑)와 이총언의 말이 사용하였다는 말구유가 있다. 「벽진 이씨 말구유」는 이총언 유허비에 돌을 던져 올려놓으면 학질[말라리아]이 낫고 말구유에 고인 물로 상처 부위를 씻으면 병이 낫...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에서 불효 아내를 길들인 남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효 아내 길들인 남편」은 시부모에게 불효하는 아내를 소 길마[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 따위의 등에 얹는 기구]를 해서 친정으로 내쫓았다가 아내의 버릇을 고쳐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야기로, 지혜담에 속한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사도실에서 열녀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도실 열녀문」은 어린 부인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끓여 먹여 병든 남편을 치료하였는데, 그 소문이 임금에게 전해져 부인에게 열녀문(烈女門)이 내려졌다는 열녀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있는 선석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석사의 유래」는 선석사(禪石寺)를 개창할 당시의 상황을 이야기한다. 당시 마을 사람들이 선석사 개창을 반대하였는데, 이때 처녀 귀신이 바위 내리치는 소리로 사람들을 겁주어 선석사를 무사히 개창할 수 있었다는 선석사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가야산의 여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성주 가야산 정견 모주 신화」는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가야산(伽倻山)의 여신과 그 아들들에 관해 전하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윤동 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수륜면 윤동 터의 명당 싸움」은 명당 자리를 놓고 박씨와 김씨 집안 사이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다룬 명당 쟁탈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운정리 우복실 마을 언덕에 있는 열녀비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순천 박씨 표열비」는 성주군 벽진면 운정2리 우복실 마을 여씨 집안으로 시집온 부인이 자신의 살을 베어 끓인 물을 병든 남편에게 먹여 낫게 하였지만, 결국 남편이 다시 병들어 죽게 되자 부인도 스스로 자결하여 목숨을 끊었다는 열녀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서 가난한 시집을 부자로 만든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시집 부자 만든 새댁」은 쌀 한 톨 없는 가난한 집에 시집온 며느리가 인색하기로 소문난 정씨 집에서 밥을 얻어 오면서 부자가 되었다는 치부담(致富談)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서 장수 박이현과 말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억울하게 죽은 말과 박이현」은 박이현(朴而絢)이 가야산(伽倻山) 백운동의 가릿대절에 들어가서 장군수를 마시고 힘센 장군이 되었으며, 실수로 자신의 말을 죽인 후 더 큰 말을 얻어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다는 이야기로, 인물 행적담에 속한다....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에서 은혜 갚은 도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온정에 보답한 도둑」은 도둑질하는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부자 아들이 죽을 위기에 처하자 목숨을 구해 주어 은혜를 갚았다는 보은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동암리에서 용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바위와 부자의 욕심」은 용바위 아래에 살던 큰 부자와 마을 사람들이 마을로 승려들이 너무 많이 찾아오자, 그들을 막기 위해 노승이 시키는 대로 용바위의 혀를 잘랐는데 그 후 마을이 망하게 되었다는 신이담이자 마을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지방리에서 기기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월항면 기기못 전설」은 성주군 월항면 모사[지방리] 마을 종들이 기기못을 더럽히자 용이 화가 나 마을을 저주하였다는 이야기로, 마을 이름을 지방리라고 부르게 된 연유를 알려 주는 지명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대장리에서 김계백과 의로운 말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의마 무덤 전설」은 주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의마에 관한 이야기로, 말의 무덤을 의마 무덤이라 하고 말이 죽은 주막을 대마점이라고 불렀는데, 훗날 대마라는 마을이 되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출신 인물인 이숭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숭인의 뛰어난 후손과 바위」는 성주군 출신 이숭인과 그 후손에 관련한 이야기로, 다섯 명의 바위 이름 유래담이자 마을 이름 유래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이창록과 첩 옥금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창록과 옥금」은 이창록(李昌祿)과 첩 옥금이 목숨을 잃으면서까지 충과 절의를 지켰다는 절의담으로, 성주 지역 인물인 이창록과 관련하여 절의와 충절 의식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설화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에 있던 해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창천의 해나무」는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천창 마을에 있던 해(害)나무에 관한 신이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에서 현감 한덕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청백리 한덕필 이야기」는 성주 지역에 부임한 지 얼마 안 된 현감 한덕필(韓德弼)이 마을에 비를 내리게 하기 위해 목숨까지 바치는 정성을 보였다는 인물 행적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서 이장경의 묘와 태봉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태봉과 이장경의 묘」는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선석사(禪石寺) 옆에 있는 태봉(胎封)에 관한 유래 전설로, 원래 이장경의 묘가 있던 곳이 명당임을 알고 조정에서 묘를 이장시키고 세종 대왕 왕자들의 태를 묻었다는 이야기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매수리에서 태자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태자 바위에 얽힌 전설」은 태자 바위 유래담으로 세 가지 설이 전한다....
-
경상북도 성주 출신 인물인 이억년·이조년 형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투금탄 전설」은 이조년(李兆年)과 이억년(李億年) 형제가 우연히 얻은 금을 하나씩 나누어 가졌는데, 동생이 형의 금이 탐나자 자신의 욕심을 없애기 위해 금을 물에 던져 버렸고 형도 아우의 말이 옳다고 여겨 금을 버렸다는 이야기이다. 형제간의 우애를 담은 우애담이자, 금덩이를 던진 공암진(孔巖津)이 ‘...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적송리에 있는 학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학바위가 깨어지고 망한 마을」은 성주군 수륜면 적송2리 학동 마을에 있는 학바위와 관련한 전설이다. 옛날에 한 처녀 때문에 걸어오던 바위가 멈춰 섰는데, 이를 보고 마을 사람들이 서로 다투게 되자 승려가 마을에서 훌륭한 인물이 나올 징조라고 하였다. 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이를 믿지 않았고, 바위를 깨...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광산리에서 효자 김윤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자 김윤도」는 과거 성주군 금수면 광산리에 살았던 효자 김윤도(金潤道)의 지극한 효성이 하늘을 감동시켰다는 효행담이다....
-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효자 박효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효자 박효랑」은 박수하의 두 딸이 갖은 노력 끝에 박경여에게 빼앗긴 선산을 되찾았고, 이 이야기를 들은 임금이 자매에게 효녀각을 하사하였다는 효행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