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221 |
---|---|
한자 | 竹谷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신선로[죽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재우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3월 1일![]() |
---|---|
변천 시기/일시 | 1934년 4월 1일 - 영천군 지곡면 죽곡동에서 영천군 화북면 죽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6년 4월 1일 - 영천군 화북면 죽곡동에서 영천군 화남면 죽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5월 3일 - 영천군 화남면 죽곡동에서 영천군 화남면 죽곡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영천군 화남면 죽곡리에서 영천시 화남면 죽곡리로 개편 |
행정구역 | 죽곡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죽곡리
![]() |
성격 | 법정리 |
면적 | 12.02㎢ |
가구수 | 98가구 |
인구[남여] | 196명[남 99명, 여 97명]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곡리(竹谷里)는 옛날 이 마을 앞 냇가에 대나무가 많이 있었다 하여 죽천(竹川)이라 불렀다. ‘죽천’의 죽(竹)과 ‘계곡’의 곡(谷)이 합쳐 죽곡리가 되었다.
죽곡은 죽천·건너골·절골·윗대내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죽천은 약 200여 년 전에 나씨 성을 가진 선비가 이곳을 개척했다고 한다. 건너골은 약 200년 전 정주선이라는 선비가 개척했다고 하며, 절골[寺谷]은 약 200년 전에 한 스님이 절을 짓고 불법을 전파하면서 마을이 생기고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그 후 절은 소실되면서 마을도 없어지고 이름만 절골로 남아 있다. 윗대내실[上竹谷]은 조선조 성종 때 황중신(黃仲信)이라는 선비가 이곳으로 피난 와 살았다고 하며, 지금도 그 후손들이 살고 있다.
죽곡리는 1914년에 지곡면(知谷面)에 속하였고, 1934년 4월 1일 화북면이 되었다. 1986년 4월 1일 영천군 화남면에 속하게 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자로 영천시·영천군이 통합해 영천시 화남면에 속하게 되었다.
죽곡리는 기룡산(騎龍山)에서 남서 간으로 뻗은 산세가 갑자기 낮아져서 구릉을 이루고, 다시 이 구릉이 갈라져서 두 갈래로 계곡을 형성하였다. 남쪽으로 뻗은 산맥이라 북쪽은 높고 동쪽과 서쪽은 낮으며, 남쪽은 계곡이 되었다. 북쪽에서 발한 계곡천은 마을의 서쪽 산기슭을 흐르며 그 경관은 매우 아름답다.
죽곡리의 북쪽은 화북면, 동쪽은 임고면, 남쪽은 신호리, 서쪽은 사천리와 접한다. 자연 마을로는 죽천·건너골[월천(月川)]·절골[사곡]·위대내실[상죽곡] 등이 있다. 죽곡리의 면적은 12.02㎢이며, 인구는 2012년 7월 말 현재 98가구, 196명으로, 남자가 99명, 여자가 97명이다.
2004년경에 익산 포항 고속 도로가 건설되면서 마을 일부가 편입되기도 하였지만, 고속 도로 나들목이 바로 앞에 입지하여 교통 여건이 좋아져 도시인들의 전원 주택 및 산업 단지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