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222 |
---|---|
한자 | 新湖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천문로[신호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재우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3월 1일![]() |
---|---|
변천 시기/일시 | 1934년 4월 1일 - 영천군 지곡면 신호동에서 영천군 화북면 신호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6년 4월 1일 - 영천군 화북면 신호동에서 영천군 화남면 신호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5월 3일 - 영천군 화남면 신호동에서 영천군 화남면 신호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영천군 화남면 신호리에서 영천시 화남면 신호리로 개편 |
행정구역 | 신호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신호리
![]() |
성격 | 법정리 |
면적 | 4.23㎢ |
가구수 | 111가구 |
인구[남여] | 237명[남 114명, 여 123명]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호리는 기룡산(騎龍山) 기슭에서 발한 시냇물이 마을 앞을 흐르면서 큰 못을 막아, 마치 못 안에 뜬 마을처럼 새로운 호수가 형성되어 매우 아름다운 마을이라는 뜻에서 이름 지은 것으로 보인다.
신호리(新湖里)는 사라들[沙羅谷]·야수골[也水谷]·신흥(新興)·대내실[다내곡(多內谷)] 등의 마을이 있다. 그 중 사라들에는 10여 가구의 오천 정씨가 주로 살고 있으며 현재는 신호1리에 속해 있다. 야수골은 조선 중기 최헌(崔憲)이란 선비가 처음 개척할 때, 마을 모양이 ‘야(也)’자 형으로 생겼다 하여 그렇게 불렀지만, 약 260년 전에 이씨(李氏)가 이 마을을 다시 이루었다 하여 신흥(新興)이라 개칭하였고 오늘날에는 신호1리에 속한다. 대내실·다내곡은 임진왜란 때 김순부(金順富)의 처 현풍 곽씨(玄風郭氏)가 두 아들을 데리고 피난 와서 이 마을을 개척한 곳으로, 오늘날에는 신호2리이다.
신호리는 1914년에 지곡면(知谷面)에 속하였고 1934년 4월 1일 화북면이 되었다. 1986년 4월 1일 영천군 화남면에 속하였으며, 1995년 1월 1일자로 영천시·영천군이 통합해 영천시 화남면에 속하게 되었다.
신호리는 기룡산(騎龍山)에서 나온 한 산맥이 서남쪽으로 향하여 작은 연봉을 이루고 있다. 그 산기슭에서 발한 시냇물이 새로운 호수가 형성되어 매우 아름다운 마을이다. 더욱 못 밖에 형성한 신흥은 오목한 산골에 아담하고 따뜻한 양지쪽에 형성되었다.
신호리는 신호1리와 신호2리로 구분되며, 자연 마을로는 대내실[다내실]·사라들·신흥 등이 있다. 신호리의 면적은 4.23㎢이며, 인구는 2012년 7월 말 현재 112가구, 231명으로, 남자가 109명, 여자가 122명이다.
고속 도로 나들목이 바로 앞에 입지하여 교통 여건이 좋아져 도시인들의 전원 주택 및 산업 단지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하여 공이 많은 김상기(金相基)·김애상(金愛相) 형제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지은 용호 서당(龍湖書堂)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