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235 |
---|---|
한자 | 聖谷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포은로[성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곡리(聖谷里)는 마을 뒤 기룡산 중턱에 성현암(聖賢岩)이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의 이름에서 성(聖)자를 따고, 골짜기를 뜻하는 한자 곡(谷)을 합해 성곡리가 되었다 한다.
성곡리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회룡동·관봉동·토동을 병합하여 영천군 자양면 성곡동이 되었고, 1995년 1월 1일 영천시·영천군 통합으로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로 개편되었다.
성곡리는 기룡산에서 뻗은 지맥이 남으로 향하여 내려와 마을 뒤 꼬깔산에 이르러 마을 북쪽을 감싸고 있으며, 남쪽 영천댐의 물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성곡리의 북서쪽은 용화리, 북동쪽은 용산리와 이웃하고 있으며, 1974년 영천댐 건설로 수몰된 자연 마을이 많다. 자연 마을은 회룡·창말[관방]·동룡·토곡·하절 등이 있다. 성곡리는 자양면 영천댐 호수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는 자양면의 면 소재지이다. 자양면사무소 외에도 파출소, 우체국 등 공공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성곡리의 면적은 5.5㎢이며, 인구는 2012년 7월 말 현재 92가구, 145명으로, 남자가 77명, 여자가 68명이다.
성곡리 남쪽 영천댐 주변으로 지방도 69호선이 지나고 있어 호수의 아름다운 경관을 배경으로 자동차 드라이브, 자전거 및 도보 산책 등으로 붐비고 있으며, 지방도 주변으로 마을이 주로 형성되어 있다.
자양면사무소 서쪽 산기슭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인 강호정(江湖亭)이 있고, 이 밖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2호인 오회공 종택(五懷公宗宅),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3호인 하천재(夏泉齋),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4호인 사의당(四宜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인 삼휴정(三休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6호인 오회당(五懷堂) 등 문화재들이 담장을 사이에 두고 모여 있다. 원래 각 마을에 산재해 있었으나, 영천댐 건설로 인해 효자 정윤량이 설학대사의 점지로 조성되었다는 오천 정씨 문중 묘역 인근으로 이건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