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256 |
---|---|
한자 | 愚巷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운주로[우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재우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3월 1일![]() |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5월 3일 - 영천군 임고면 우항동에서 영천군 임고면 우항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영천군 임고면 우항리에서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로 개편 |
행정구역 | 우항리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
성격 | 법정리 |
면적 | 2.82㎢ |
가구수 | 126가구 |
인구[남, 여] | 245명[남자 119명, 여자 126명]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에 속하는 법정리.
우항리(愚巷里) 명칭은 예전부터 우항 박씨(愚巷朴氏)들이 많이 살았던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우항리의 곡평(曲坪)마을은 옛날 아전들이 많이 살았다고 하며, 평산 신씨(平山申氏)가 주로 살고 있다. 연하(連河)마을은 동리 앞 못에 연꽃이 많이 피었다 하여 연화(蓮花)라고도 부르는데 우항 박씨(愚巷朴氏)들이 많이 살고 있다. 연하마을은 조선 전기에 황해도 풍원 군수를 역임한 박영손(朴英孫)[1442~1486]의 자손들이 세거해 온 마을이다. 울목은 제학곡(啼鶴谷)으로 넘어가는 기슭에 위치하며 밀양 박씨 등이 살고 있다.
우항리는 신라 경덕왕 때부터 임고군(臨臯郡)에 속하였고, 고려 시대에는 임고현(臨臯縣)에 속하였으며, 공양왕 때 영천부(永川府)에 소속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1415년(태종 15) 영천군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임고면(臨臯面)에 속하였다. 1995년 1월 1일자로 영천시·영천군 통합으로 영천시 임고면에 속하게 되었다.
우항리는 동쪽과 남쪽은 고경면과 경계를 이루며, 북쪽은 고천리와 접하고, 서쪽은 자호천과 임고천이 합쳐지는 곳이다. 동부 지역 천장산(天掌山)[695m]과 고경면의 도덕산(道德山)[708m] 산맥이 서쪽으로 뻗어 우항리와 고천리 서쪽으로 연결된다. 우항리는 이 마을에서 산지 지형이 끝나고 평야 지대를 이루다가 서쪽 방향으로 임고천이 흐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지형을 보이는 마을이다.
우항리의 동쪽은 고천리와 경계를 이루고, 남쪽은 고경면, 서쪽은 양항리, 북쪽은 양평리와 접하고 있고, 자연 마을로는 연하·굽들·울목 등이 있다. 우항리의 면적은 2.82㎢, 인구는 2012년 7월 말 현재 126가구, 245명으로, 남자가 119명, 여자가 126명이다.
우항리의 문화재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2호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유허비(遺墟碑)가 있으며, 국도 28호선이 영천시에서 우항리를 지나 포항시 방면으로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