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288 |
---|---|
한자 | 論瑟里 |
이칭/별칭 | 답곡리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논실길[논실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3월 1일![]() |
---|---|
변천 시기/일시 | 1934년 4월 1일 - 영천군 고촌면 답고동에서 영천군 고경면 답곡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5월 3일 - 영천군 고경면 답곡동에서 영천군 고경면 답곡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영천군 고경면 답곡리에서 영천시 고경면 답곡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8월 21일 - 영천시 고경면 답곡리에서 영천시 고경면 논실리로 개편 |
행정구역 | 논실리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논실리
![]() |
성격 | 법정리 |
면적 | 4.3㎢ |
가구수 | 35가구 |
인구[남, 여] | 56명[남 29명, 여 27명]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에 속하는 법정리.
논슬리(論瑟里)는 이 지역의 자연마을 ‘논실’에서 나온 명칭으로, ‘답곡리(畓谷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들이 국란을 극복하기 위해 거문고와 비파소리로 암호를 정하고 이곳에서 작전을 논의하여 왜군을 크게 무찔렀던바, 선조가 이 마을을 ‘논슬(論瑟)’이라 칭하였다 한다.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강제로 ‘답곡리’라 하였는데, 광복 이후 주민들이 건의하여 다시 ‘논실’로 개칭하였다.
논실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영천군 고촌면 답곡동이 되었고, 193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고촌면과 청경면이 통합되어 고경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영천군 고경면 답곡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영천시·영천군 통합으로 영천시 고경면 답곡리가 되었으며, 1995년 8월 21일 영천시 고경면 논실리로 개정되었다.
논실리는 마을 남부의 어림산에서 뻗어 나온 지맥이 마을 전체를 감싸고 있으며, 산지 북서 사면에 형성된 산간 계곡을 따라 농경지가 뻗어 내려가고 있다. 농경지 옆 산기슭으로 집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촌천 상류가 발원하여 계곡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 내려간다.
논실리는 고경면 남동단에 위치하며, 동쪽은 경주시 안강읍, 남서쪽은 덕정리, 북쪽은 파계리와 이웃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논실[답곡]·예수골 등이 있으며, 마을 아래 입구 쪽으로 지방도 925호선이 지나 간다. 논실리의 면적은 4.3㎢이며, 인구는 2011년 말 현재 35가구, 56명으로, 남자가 29명, 여자가 27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