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396 |
---|---|
한자 | 鵲山橋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작산동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정자 |
준공 시기/일시 | 1939년![]() |
---|---|
전구간 | 작산교 - 경상북도 영천시 작산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작산교 -
경상북도 영천시 작산동
![]() |
성격 | 도로교량 |
길이 | 90m |
차선 | 1차선 |
폭 | 5.1m |
경상북도 영천시 남부동의 작산동에 있는 북안천을 건너는 4번 국도에 놓인 도로 교량.
작산교는 영천시 남부동의 작산동 남쪽을 흐르는 북안천을 건너는 4번 국도의 도로 교량이다. 4번 국도는 전라북도 군산시와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도로로 일제 강점기 때 일제에 의해 건설되었고, 작산교 역시 일제 강점기 때 건설되어 영천시에 현재 남아 있는 도로 교량 중 두 번째로 큰 교량이다.
작산교는 전체 길이 90m, 교폭이 5.1m로 영천 지역에서 일제 강점기 때 건설되어 현재까지 잔존하는 도로 교량 중 두 번째로 크다. 하천 양단에 철근 콘크리트조 교대가 각각 하나씩 있고 북안천 내에 8개의 철근 콘크리트조 교각[길이 6m, 폭 1.3m, 높이 5m]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데 전체 칸 수는 9칸이다.
교각과 교각 사이는 9m이고, 교각 위로는 철근 콘크리트조의 상판을 교각과 직교되게 걸쳤다. 상판은 빔 4개로 구성한 ‘T’형 슬랩[빔 높이 43㎝] 구조이며, 상판 상부 양단에는 철근 콘크리트 난간을 쳤다. 난간은 교각 1칸 당 19개의 난간 동자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난간대를 놓았다.
난간 기둥 사이에는 난간면 없이 뚫려 있다. 그리고 난간의 양 단에는 난간 엄지기둥을 세우고 ‘작산교’라는 글자를 찍었다. 교각은 입면 상 제형[사다리꼴]이고, 평면상 장방형이다.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안천의 하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장방형의 교각을 놓았는데 장변의 양 단부는 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처리했다. 교각 상단은 약간 돌출되게 띠를 두른 것처럼 표현했다.
작산교는 일제 강점기 때 일제에 의해 4번 국도가 건설되면서 영천시 작산동 남쪽의 북안천을 건너기 위해 철근 콘크리트조로 건설되었다. 다리 양 단의 난간엄지기둥에는 교명과 ‘소화(昭和) 14년’이라는 건립 연대가 표기되어 있어 1939년에 건립된 것을 알 수 있다.
4번 국도의 북안천을 가로지르는 작산교는 1939년에 1차선으로 준공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까지 교각 등의 주요 구조의 변화 없이 이어져 왔으나 4번 국도의 도로 확장 및 선형 조정 공사로 인해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
작산교는 작산동 남쪽에 북동-남서로 흐르는 북안천에 직교되게 북서-남동향으로 놓여 있다. 물은 천의 중앙부에 교각 2칸으로 항상 흐르고 있어 교각의 장기 침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작산교는 남쪽의 신 작산교가 놓임으로써 그 용도가 폐기된 상태로 인도로만 이용되고 있다. 2004년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에서 근대 문화유산 목록화 조사 사업으로 조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