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498 |
---|---|
한자 | 高鬱府 |
이칭/별칭 | 익양,영양,영주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이영호 |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 설치되었던 신라 말기의 행정구역.
고울부(高鬱府)는 절야화군(切也火郡) 혹은 임고군(臨皐郡)으로 불리던 영천 지역이 신라 말기에 명칭이 개칭된 지역이다. 절야화군[임고군]이 고울부로 개칭된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925년(고려 태조 8) 10월 고울부 장군 능문(能文)이 군사를 거느리고 고려에 투항하였다든가 927년(태조 10) 9월에 견훤(甄萱)이 신라의 고울부를 습격한 사실에서, 적어도 이 무렵에는 고울부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 말기 새로운 지방 제도로서 부(府)의 탄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라 말 고울부로 불렸던 영천 지역은 고려 시대에 영주(永州)라 개칭되었다. 995년(성종 14)에 영주자사(永州刺史)로 삼아 1018년(현종 9)에 동경유수관 경주에 속하였고,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고 후에 올려 지주사(知州事)를 삼았다. 별호(別號)를 익양(益陽) 또는 영양(永陽)이라 하였다.
『고려사』 권1 세가(世家) 925년(태조 8) 10월조에 “기사(己巳)에 고울부 장군 능문(能文)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투항하였는데, 그 성이 신라의 왕도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노고를 위로하여 돌려보내고. 다만 휘하의 시랑(侍郞) 배근과 대감(大監) 명재, 상술(相述) 궁식 등만을 머물러 두었다[己巳 高鬱府將軍能文 率士卒來投 以其城近新羅王都 勞慰遣還 唯留麾下侍郞盃近大監明才相述弓式等]”라고 하였으며, 927년(태조 10) 9월조에는 “견훤이 근품성을 공격하여 불사르고 나아가 신라의 고울부를 습격하여 경주 가까이까지 핍박하니 신라 왕이 연식을 보내어 급함을 알려왔다[甄萱攻燒近品城 進襲新羅高鬱府 逼至郊畿 新羅王遣連式 告急]"라고 하였다.
또, 『고려사』 권 57, 지리지 ‘영주’ 항목에 “고려 초에 신라 임고군을 합하여 도동 임천 2현을 두었다[고울부라고도 한다][永州 高麗初 合新羅臨皐郡 道同臨川二縣 置之(一云高鬱府)]” 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