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589 |
---|---|
한자 | 權應銖肖像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정수환 |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임진왜란 의병장 권응수(權應銖)[1546~1608]의 초상.
권응수의 본관은 안동이며, 자는 중평(仲平), 호는 백운재(白雲齋)이다. 경상북도 영천 신녕에서 태어났다. 그는 1583년 무과에 급제한 후 훈련원부봉사를 거쳐 1592년 경상좌수사 박홍(朴泓)[1534~1593]의 막하에 있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향 신녕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5월부터 활동을 전개했으며, 6월에 경상좌도병마절도사 박진(朴晉)[?~1597]의 휘하에 들어갔다가 7월에 의병장이 되었다. 그는 7월 영천, 신녕 일대의 의병장 정세아(鄭世雅)[1535~1612], 정대임(鄭大任)[1555~1594], 김윤국(金潤國), 관군 경주부판관 박의장(朴毅長)[1555~1615]과 더불어 영천성을 수복했다.
전공으로 1594년 경상좌도 방어사가 되었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경리 양호(楊鎬) 등과 함께 울산성 전투에 참여했다. 전란 후 1603년 충무위부호군이 되었으며, 선무공신 2등으로 책록되고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권응수가 임진왜란 이후 선무공신 2등에 오르고 화산군에 봉해지면서 도상이 그려졌다. 크기는 가로 104㎝, 세로 220㎝이다.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두 손은 소매 속에서 마주잡은 모습을 묘사했다. 가슴에는 호랑이 흉배가 있는 단령을 입고 있다.
「권응수 초상」은 17세기 공신도상(功臣圖像)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세부묘사가 매우 안정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권응수 초상」은 권응수와 관련한 유품 중 공신도상과 관련하여 1604년에 발급된 『선무공신녹권(宣武功臣錄券)』 등이 함께 전하고 있어 임진왜란사 및 미술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1980년 8월 23일 보물 제668-1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