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857 |
---|---|
한자 | 明珠里支石墓群 |
이칭/별칭 | 명주리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 창기마을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김광명 |
조성 시기/일시 | 청동기 시대 - 명주리 고인돌 떼 조성 |
---|---|
소재지 | 명주리 고인돌 떼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 창기마을
![]() |
성격 | 무덤 |
양식 | 개석식 고인돌 |
크기(높이, 지름) | 지표면에서의 높이 20~250㎝|지름 90~385㎝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 창기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명주리 고인돌 떼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 창기마을에 있다. 마을 앞을 지나는 921번 지방도로가 유적을 동·서로 갈라놓고 있는데, 동서 편의 논과 밭에서 땅에 반쯤 묻히거나 지석이 노출된 채 네 기가 확인된다.
명주리 고인돌 떼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동과 서로 구역이 나뉘어 있다. 먼저 도로 서쪽에 한 기, 동쪽에 세 기가 각각 70~80m의 간격을 두고 북안천과 평행하게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가장 북동쪽에 있는 고인돌은 그 앞의 고인돌과 불과 10m의 거리를 두고 있어 후에 이동 되었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예전에는 이보다 더 많은 고인돌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도로 등의 개발이 되면서 훼손되었을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전체 네 기의 고인돌은 각각 개석식 고인돌의 형태를 띠고 있다. 개석[뚜껑돌]은 대부분 괴형으로 한 기만 정육면체의 방형이다. 도로 서쪽의 고인돌 개석의 크기는 240×230×75㎝, 나머니 동쪽의 고인돌은 각각 개석의 크기가 385×370×240㎝, 370×270×250㎝, 90×60×25㎝이다.
개석의 재질은 전체가 퇴적암의 역암으로 확인된다. 또 한 기는 개석 아래에 지석이 확인되기도 한다.
명주리 고인돌 떼는 천을 따라 배치되고 양식이 개석식인 점, 재질이 역암인 점 등은 영천의 다른 고인돌 유적과 비슷한 양상이다. 향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발굴 조사를 통해 이 일대의 청동기 시대 묘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