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1029 |
---|---|
한자 | 安后靜 |
이칭/별칭 | 군경(君敬),성재(省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순홍 |
출생 시기/일시 | 1659년![]() |
---|---|
활동 시기/일시 | 1691년 - 안후정 사마시에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99년 - 안후정 식년문과에 급제 |
몰년 시기/일시 | 1702년 10월 18일![]() |
출생지 | 안후정 출생지 -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리
![]() |
묘소|단소 | 안후정 묘소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 |
성격 | 문인 |
성별 | 남 |
본관 | 광주 |
저술 | 『성재일고(省齋逸稿)』 |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안후정(安后靜)의 본관은 광주. 자는 군경(君敬), 호는 성재(省齋)이며, 1659년(효종 10) 도동리(道東里)[현 영천시 도남리]에서 태어나 1702년(숙종 28) 10월 18일 4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안광소(安光韶)이며, 증조는 감찰(監察) 안전(安琠), 조부는 증(贈) 판결사(判決事) 안명한(安鳴漢)이다. 아버지는 안세영(安世英)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 成氏)로 성길(成 日+吉)의 딸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오천 정씨(烏川鄭氏)로 진사(進士) 정사현(鄭思賢)의 딸이며, 슬하에 6남을 두니 안여택(安汝宅)·안여이(安汝履)·안여행(安汝行)·안여인(安汝仁)·안여기(安汝器)·안여국(安汝國)이다.
안후정은 몸소 밭을 갈고 가꾸며 힘써 배워 1691년(숙종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1699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700년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에 보임되었다가 학록(學錄)으로 전보되었다.
1702년에 고향으로 돌아왔으며, 가을에 학정(學正)으로 승급되었으나 나아가지 못했다.
목판본인 4권 2책의 『성재일고(省齋逸稿)』가 있다.
안후정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청호제산(菁湖堤山)에 있으며, 오천(烏川) 정중기(鄭重器)의 갈문(碣文)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