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1374 |
---|---|
한자 | 鄭宜藩忠奴億壽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최미애 |
출생 시기/일시 | 조선 전기 - 억수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몰년 시기/일시 | 1592년![]() |
묘소 | 억수의 묘소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하천(夏泉) 백암공 묘소 아래![]() |
성격 | 충노 |
성별 | 남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백암(柏巖) 정의번(鄭宜藩)의 노비.
임진왜란 때 영천 지역의 의병들은 영천성 탈환의 여세를 모아 경주성 탈환 전투에 참전하게 되었다. 정의번은 늘 앞장서서 적을 공격했고, 그의 종 억수는 충실히 주인을 보필했다. 그러나 적군이 기병을 투입하여 아군의 뒤쪽을 공격하고, 앞쪽에 매복했던 병사들이 일시에 공격을 해오자 아군은 당황하기 시작하였으며, 주력부대인 관군이 잠시 후퇴하자 진영은 흐트러지고 말았다.
이 바람에 정의번은 아버지 호수(湖叟) 정세아(鄭世雅)와 떨어져 사방으로 찾았으나 찾을 길이 없자 다시 적진을 향해 칼을 휘두르며 습격을 하였다.
이 틈을 타서 아버지 정세아는 포위망을 벗어났으나 이 사실을 모르는 정의번은 온몸이 창에 찔리면서도 적진 속에서 아버지를 찾아 헤매었다. 이렇게 적진을 수차례 드나들며 고군분투하였으나 수적 우세인 적을 당해낼 도리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다시 적진을 향해 쳐들어 갈 때 종인 억수에게, “아버지는 이미 전사하신 것이 분명하니 내가 어디로 돌아가겠느냐? 너는 나와 관계없이 떠나거라”하니, 억수가 말고삐를 잡고 눈물을 흘리며, “주인님이 아버지를 위해 죽기를 결심하셨는데, 소인이 어찌 차마 혼자 살 수 있겠습니까?”하며 함께 진격을 했다.
사방으로 적에게 포위를 당한 정의번은 장렬하게 최후를 마쳤고, 억수 또한 주인과 같이 전사를 하였다. 후에 시신을 찾아 정의번의 묘소 아래 무덤을 만들고 지금까지 묘사를 올리고 있다.
억수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하천(夏泉) 정의번의 묘소 아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