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2008 |
---|---|
한자 | 永川文化叢書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은숙 |
창간 시기/일시 | 2004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5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12월 5일![]() |
소장처 | 영천 문화원 - 경상북도 영천시 창구동 1 |
제작|간행처 | 영천 문화원 -
경상북도 영천시 창구동 1
![]() |
성격 | 영천 지역 향토문화총서 |
창간인 | 전민욱 |
발행인 | 김종대 |
판형 | 신국판 |
총호수 | 제7호 |
2003년 영천 문화원에서 영천문화를 대표할 자료를 선별해 발간한 향토문화 총서.
『영천문화총서』는 2003년 영천 문화원에서 영천의 대표적인 시문집과 사료·지명과 관련한 기록들을 조사·정리해 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영천문화총서』의 규격은 신국판[148×225㎜]이며, 단행본 6권이다.
『영천문화총서』는 2004년 『영천문화총서』Ⅰ을 시작으로 2011년 『영천문화총서』Ⅵ까지 발간하였다.
2004년에 발간한 『영천문화총서』Ⅰ은 영천시 유형문화재 144호인 영천조양각 관련 시문을 모은 「조양각 시문집」이다. 2005년에 발간한 『영천문화총서』Ⅱ는 「영천사료집」을 534쪽 분량으로 발간하였는데, 영천 기록이 수록된 『삼국사기』·『삼국유사』·『고려사』·『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경상북도영천군읍지』·『경상북도 신녕군 읍지』 등의 고문헌 원문을 번역해 실었다.
2006년에 발간한 『영천문화총서』Ⅲ은 「조선왕조실록 중 영천지명 관련기록」으로 1394년(태조 3) 3월 7일[병오]부터 1858년(철종 9) 3월 22일[무술]까지, 영천 지명 관련 기록을 번역해 695쪽 분량으로 수록함으로써 당시의 생생한 지역 역사를 엿 볼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 발간한 『영천문화총서』Ⅳ는 「영천 문화유산 답사기」로 영천 지역 대표 문화유적 46개를 선정해 답사한 결과를 300쪽에 걸쳐 기록하였다. 2010년에 발간한 『영천문화총서』Ⅴ는 「영천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로 영천시의 행정단위인 5개동·1읍·10개면에 속한 개별 마을의 자연환경, 마을의 역사 및 지명유래, 마을의 특징 등을 현지 조사해서 356쪽 분량으로 발간했다. 2011년 12월 5일 발간된 『영천문화총서』Ⅵ은 「무대 위에서 스러진 불꽃 왕평 이응호」라는 제호로 황성옛터 등 수많은 노래말을 지은 왕평 선생의 작품과 삶을 정리하였다.
영천 문화원에서 발간한 향토문화총서는 영천 지역 시민들의 문화수준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영천 지역 향토사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