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381
한자 永川驛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37년연표보기 - 영천역 건립
개관|개장 시기/일시 1941년 3월 1일연표보기 - 영천역 개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1월 17일연표보기 - 영천역 신축
최초 설립지 영천역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891
현 소재지 영천역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891 지도보기
성격 철도역사
면적 144,475.5㎡
전화 1544-7788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에 있는 대구선의 종점이자 중앙선이 분기하는 철도역.

[개설]

영천역(永川驛)은 코레일 대구본부 소속으로, 대구선[대구~영천]의 종점이자 중앙선[서울~경주]이 분기하는 역이다. 1937년 12월 31일 역사와 급수탑, 화물헛간, 부속가 등을 신축하였고, 1941년 3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변천]

영천역은 1917년 11월 1일자로 개통된 대구선의 종점 역이자 1941년 2월에 개통된 중앙선의 관통 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고, 1985년 6월 1일 북영천과 송포 신호장을 통합 관리하였다. 1995년 기존 역사를 철거하고 11월 27일 현대식 역사로 새로이 건축했다. 1995년 1월부터 철도청 대구본부 소속이 되었고,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5년 1월부터 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현재 코레일]로 출범함에 따라 철도역의 각종 시설물은 철도시설공단에서, 운행 부문은 한국철도공사에서 각기 맡아 운영하고 있다.

[구성]

영천역은 영천 시가지의 남단 구역인 완산동 891번지에 있으며, 현재 구 역사를 철거하고 신축한 현대식 역사와 급수탑·화물헛간·부속가·철도역원 관사 등이 남아 있다. 구 역사는 1930년 이후 보편화된 철도 역사의 양식으로 좌측에 치우쳐 설치된 대합실 부분의 홀을 높이고 정면에 삼각형 박공지붕을 강조한 일식 기와집이었다. 영천역 신축 역사의 입면은 중앙에 배치한 대합실 부분의 홀을 높게 강조한 형태인데, 중앙홀의 정면은 넓은 고창으로 현대미를 부각시켰고, 중앙홀을 중심으로 좌우로는 볼륨감 있는 박스 형태의 디자인을 대칭되게 구사했다.

영천역 역사의 지붕은 볼륨감 있는 평면 및 입면 형태에 맞추어 다양한 위치에 우진각지붕으로 꾸미고 청기와를 이었으며, 평면은 대합실에 매표소 등을 배치하고, 그 좌우로는 여객의 편의를 위한 휴게실과 화장실·부속실·기계실 등이 배열되어 있다.

영천역 급수탑영천역 역사 맞은편에 있는데, 전형적인 1930년대의 급수탑 외형과 구조가 잘 보존되어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화물헛간은 역사 서쪽에 위치하는 정면 12칸, 측면 1칸 규모로 구조는 비늘판 벽조에 지붕 가구를 왕대공 트러스로 짠 맞배 슬레이트집이다.

영천역 철도역원 관사는 역사 서쪽의 금로동 604번지 일원에 집단 주거지로 조성되었는데, 지금은 대부분 민간에 불하된 상태로 철거해 양옥을 신축하거나 내·외부를 개조, 개량하여 증축하는 등 옛 모습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현황]

영천역의 열차 운행은 상·하행 모두 무궁화 열차 17회, 새마을 열차 7회이며, 상행은 서울 2회, 청량리 2회, 강릉 1회, 동대구 19회이고, 하행은 포항 6회, 부전 18회이다.

최근 영천역은 철도 이용 승객이 감소해, 승강장은 2면 4선이지만 1면 2선만 사용하고 있다. 승강장에서 역사까지는 육교가 가설되어 있지만, 요즘은 대부분 육교 대신 철길을 가로질러 통행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상·하행 무궁화 및 새마을호 등 총 24회의 열차가 매일 정차하고 있으나 철도의 이용객이 적어 2006년 5월 1일부터는 소화물 운송 취급이 중지되었다. 따라서 영천역 역사 운영에는 기본적인 인원과 시설만 가동하며, 승강장은 축소해 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