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0089 |
---|---|
영어음역 | Gosari Taryeong |
영어의미역 | Fiddlehead Song |
이칭/별칭 | 고사리 꺾는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 둔전마을 |
집필자 | 이윤선 |
[정의]
고사리를 꺾으면서 부르는 민요.
[개설]
고사리타령은 부녀요(婦女謠)의 하나로 ‘고사리 꺾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황해도의 신계군, 경상북도의 영덕군·영양군, 충청남도의 보령군, 전라북도의 장수군, 전라남도의 진도군과 해남군을 비롯해서 전국적으로 퍼져 있다.
가사는 대개 가난의 한스러움과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나타내며, 노동요의 형태를 갖추면서 단순하고 불규칙한 박자로 부른다.
강강술래의 여흥놀이인 ‘고사리 꺽자’와 같은 유의 노래로 보는 시각도 있다.
[채록]
지춘상이 1979년 8월 1일 진도군 군내면 둔전리 둔전마을의 최소심(여, 72)에게서 채록하였다.
[가사]
껑자 껑자 꼬사리대사리 껑자
꼬사리껑꺼 바구리에담고
송쿠껑꺼 웃짐엱꼬
칙순을 뜯어 목에다걸고
삐삐뽑아서 손에다들고
우리집이 어서가서
우리애기 젖을주세
이산저산 댕기면
꼬사리 대사리 껑꺼서
선영봉제사 하여를볼거나
당나디제나 디장장
[내용]
『조선의 향토오락』의 기록에 의하면, 고사리타령은 강강술래와 꼭 연관짓지 않더라도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놀이의 명칭이 동일하더라도 놀이 형태가 같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무형이라는 광의의 측면에서 해석하는 경우에도, 이름이 ‘강강술래’라고 해서 동일한 강강술래인 것은 아니다.
『조선의 향토오락』에서 전북 정읍의 강강술래는 강강술래와 제목은 같지만, 세 사람이 한편이 되어 두 사람이 손을 잡고 한 사람이 그 위에 타고 걸으면서 노래를 부르는 놀이를 말하기 때문이다. 이때 위에 올라탄 사람은 박수를 치면서 노래를 부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강강술래 놀이와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일부에서 고사리타령을 강강술래의 여흥놀이인 ‘고사리 꺽자’와 같은 유의 노래로 보는 시각이 있는데, 고사리 꺽자의 가사는 “껑자 껑자/만부대사리 껑자/유자콩콩 재미나 보자/아장장장 벌이어/껑자 껑자/고사리나 껑자/수양산 고사리 껑꺼다가/우리 아배 반찬하세/껑자 껑자/고사리나 껑자/지리산 고사리 껑꺼다가/우리 엄매 반찬하세”로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