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1223 |
---|---|
영어음역 | Jajangga |
영어의미역 | Lullaby |
이칭/별칭 | 워리자장,애기 흥그는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
집필자 | 김지현 |
[정의]
어린아이를 재우거나 어를 때 부르는 민요.
[개설]
자장가는 어린아이를 재우거나 어르기 위해 부르는 민요이다. 가사노동요 가운데 양육요에 해당하는 자장가는 ‘아이 어르는 소리’와 함께 전승되고 있는데, 전승 주체가 여성이기 때문에 부요에 해당한다.
[채록 및 수집상황]
1979년 7월 27일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서 지춘상(池春相)이 조사하고, 제보자는 그 마을의 이순례(李順禮)[여, 67]이다.
[가사]
자장자장 우리애기/잠잘잔다/문턱밑에 검정개야/반침밑에 쌉쌀개야/마당간데 백상개야/동네개도 짖지말고/꼭꼬닭도 우지말아/우리애기 잠잘잔다/자장자장 자장개야/우리애기 잠잘잔다/우리애기 자장개야/놈애기는 개똥밭에/재여주고 울애기는/꽃방석에 재여주게/자장자장 자장개야/우리애기 잠잘잔다
[내용]
자장가가 언제부터 민간의 부녀자들에게서 불리고 전승된 것인지 정확하게 전해지는 바는 없지만, 아이를 재우거나 어르면서 불렀던 노래임을 감안할 때 그 연원을 아주 이른 시기까지 소급할 수 있다.
자장가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아이를 안고 배나 등을 가볍게 두드리면서 부르거나, 구덕에 눕혀 놓고 흔들면서 부르기도 한다. 아이를 재우려는 기능적인 측면이 분명하고, 가창자가 어른이라는 점에서 일반 동요와는 구별된다.
자장가의 사설은 아기가 잠을 푹 자도록 앞집 강아지도 짖지 말고, 뒷집 닭도 울지 말라고 당부하는 내용과 함께, 어머니의 애정과 아이가 장래에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자장가는 「심청가」나 「옹고집타령」에도 삽입가요로 들어갈 정도로 아주 오래전부터 전국적으로 불린 민요이다. 자장가는 현재도 우리나라 각 지방에서 전해지고 있는데, 각 지역의 특성을 고찰할 수 있는 민요의 한 유형으로서의 의의도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