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중기 진도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금천. 김장생의 제자이며 우의정을 역임한 강석기(姜碩期)[1580~1643]의 둘째 아들이다. 강석기의 딸은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이다. 소현세자가 인조에 의해 독살된 뒤 강빈은 저주사건(역모)의 주모자로 모함되어 사사되었다. 이를 ‘강빈의 옥’이라 한다. 앞서 죽은 강석기는 관작을 추탈당하였고, 그의 부인은 처형되었다. 1645년(인조...
-
조선 말기의 의병. 충청남도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가 체포되어 진도로 유배되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명(景明), 호는 낙계(樂溪). 1864년(고종 1) 4월 16일에 충청남도 청양 적곡(赤谷) 낙지(樂只) 341번지에서 태어났다. 1906년부터 의병 활동과 독립 운동을 계속하였고, 해방 후인 1947년 3월 7일 향년 84세로 운명하였다. 1906...
-
조선후기 신임사화로 진도에 유배된 광산김씨 인물. 조선후기 광산김씨 집안은 격화되는 노론·소론 당쟁의 중심부에 있었다. 김춘택(金春澤)[1670~1717]은 노론으로 광산김씨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인경왕후(仁敬王后)[1661~1680]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장인이었던 김만기(金萬基)였고, 숙부는 당대 문장가로 유명한 김만중(金萬重)이었다. 장희빈의 소생이 원자로 책봉되...
-
조선 중·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 증조부는 김극효(金克孝)이고, 조부는 김상헌(金尙憲)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광찬(金光燦)이다. 어머니는 목사 김사(金瀉)의 딸이다. 형은 김수흥(金壽興)이고, 아들은 김창집(金昌集)·김창협(金昌協)이며, 손자는 김제겸(金濟謙)이다. 1629년(인조 7)에 태어났다. 1651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보숙(輔叔), 호는 유와(牖窩). 증조부 김창업(金昌業)은 진도에 유배와서 사사당한 김수항(金壽恒)의 넷째 아들이고, 할아버지는 김우겸(金祐謙)이다. 아버지는 김유행(金由行)이며 어머니는 이덕영(李德英)의 딸이다. 형제는 형으로 김이흥(金履興)·김이인(金履寅)이 있고, 서제로 김이진(金履眞)이 있다. 자식으로는 김철순(金徹淳)·김휘순(...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무숙(茂叔), 호는 광남(光南).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아버지는 참판을 지낸 김반(金槃)이며, 어머니는 첨추(僉樞) 김진려(金進礪)의 딸이다. 김익훈은 1619년(광해군 11)에 태어났다. 음직으로 등용되어 의금부도사·남원부사·사복시첨정 등을 지냈다. 조카인 김만기(金萬基)의 딸이 숙종의 비로, 숙종이 즉위한 뒤 군권의 요직...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경어(景魚). 아버지는 성균진사 김흠(金欽), 할아버지는 김승석(金承碩), 증조부는 김결(金潔)이다. 동생은 김효재(金孝哉), 김현재(金賢哉), 김덕재(金德哉), 김강재(金强哉) 등이다. 아들은 김백함(金白緘)이고, 사위는 황보신(皇甫信)이다. 1554년(명종 9)에 태어났다. 1573년(선조 6) 생원시에 급제하여 진사(進士)가 되었고, 1...
-
조선 후기 신임사화로 진도에 유배된 광산김씨 인물. 조선 후기 광산김씨 집안은 격화되는 노론·소론의 당쟁의 중심부에 있었다. 김춘택(金春澤)[1670~1717]은 노론으로 광산김씨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인경왕후(仁敬王后)[1661~1680]의 아버지이자 숙종의 장인이었던 김만기(金萬基)였고, 숙부는 당대 문장가로 유명한 김만중(金萬重)이었다. 장희빈의 소생이 원자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중휘(仲輝), 호는 의졸(宜拙). 좌의정 남지(南智)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남아(南啞)이고, 증조부는 남언순(南彦純), 아버지는 평강현감 남리(南裡)이다. 어머니는 서주(徐澍)의 딸이다. 아들은 남세하(南世夏)·남상하(南相夏)·남수하(南壽夏)·남성하(南聖夏)·남서하(南瑞夏)·남경하(南敬夏)·남덕하(南德夏)가 있다. 사위는 민진장(閔鎭...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우의정 노숭(盧嵩)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노경장(盧敬長)이고, 할아버지는 노후(盧珝)이고, 아버지는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 노홍(盧鴻)이다. 1531년 성리학자로 명망 높은 이연경(李延慶)의 딸과 혼인하고 장인의 문하생이 되었다. 노준명(盧峻命)의 증조이다....
-
한말의 의병장으로 진도에 유배된 문신. 1895년 을미사변 후 벼슬을 버리고 충청남도 정산으로 우거, 운둔하였다가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켰다. 홍주성 점령 후 일군에 패하여 재기를 도모하던 중에 붙잡혀 진도로 유배되었다. 본관은 여흥. 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민영상(閔泳商)이다. 1882년(고종 19) 별시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1...
-
조선말기 진도로 유배된 의병. 1868년(고종 5)년에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궁내부주사, 의병대 향관으로 의병 활동을 하다가 1939년에 향년 72세로 타계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궁내부주사를 사직하고 정재호(鄭在鎬)·김덕진(金德鎭) 등과 함께 을사오적을 토멸하기로 결의하였다. 민종식(閔宗植)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운영대장격인 향관(餉官)에 임명되...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정오(靜吾), 호는 현포(玄圃). 증조부는 신숙(申淑)이고 조부는 신중엄(申仲淹)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신식(申湜)이고 어머니는 광주인(光州人) 노개(盧塏)의 딸이다. 처는 동래인 정창연(鄭昌衍)의 딸이다. 1603년(선조 36) 생원시에 합격하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성균관전적으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원서(元瑞)·군서(君瑞), 호는 묵재(默齋)·묵치(默癡)·적안(適安). 첨정(僉正) 신목(申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성 신민일(申敏一)이고, 아버지는 부사 신상(申恦)이며, 어머니는 이흥인(李興仁)의 딸이다. 동생으로 신명륭(申命隆)이 있고, 아들에 신유, 신임, 신심, 손자에는 신사철(申思喆), 신사영(申思永), 신사건(申思建...
-
고려 후기 삼별초의 토벌에 참여한 몽고 원수. 1270년(원종 11) 몽고 원수 아해(阿海)는 전라도추토사로 임명된 김방경과 함께 진도로 삼별초를 토벌하기 위해 갔다. 아해는 김방경과 함께 삼견원(三堅院)에 주둔하면서 삼별초와 여러 날 대치하였다. 대치하던 중 반남 사람 홍찬(洪贊)·홍기(洪機)가 아해에게 “김방경과 공유 등은 비밀리에 반적과 서로 내통하고 있다.”고 고하였다. 이...
-
고려후기 왕족으로 진도현에 유배된 인물. 1153년(의종 7)에 고려 18대 국왕 의종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장경황후 김씨이다. 초명은 왕홍(王泓)이고, 효령태자(孝靈太子)로 봉해졌다. 1170년(의종 24) 무신난을 일으킨 정중부는 의종은 거제도로 유배시키고, 태자 왕기는 영은관으로 옮겼다가 진도현으로 유배시켰다....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장흥. 고려 중기 예종대에 문장으로 명망을 떨치고 문하시중을 역임한 위계정(魏繼廷)이 9대조이다. 위충(魏祌)의 아버지는 위윤기(魏潤琦)이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면 방촌에서 태어났으며 그 후손들이 현재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에 살고 있다. 고려 후기에 조회와 의례를 맡아보던 합문(閤門)의 판사(判事, 정3품)를 역임하였다. 1391년(공양왕 3) 11월...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방숙(方叔), 호는 취옹(醉翁). 유영(兪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대의(兪大儀)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 통훈대부(通訓大夫) 유성증(兪省曾)이며, 어머니는 구준(具濬)의 딸이다. 아내는 풍천 임효달(任孝達)의 딸이다. 형으로 유황(兪榥)이 있다. 1606년(선조 39)에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검열, 사간, 경기도 관찰사, 대사헌...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희순(希醇), 호는 묵곡(墨谷)·묵암(墨巖). 태사(太師) 이도(李棹)의 후손이며, 부여감무 이의(李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이대종(李大種)이고, 아버지는 이영(李潁)이며, 어머니는 생원 채소명(蔡紹明)의 딸이다. 1458년(세조 4)에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검교, 정언, 좌승지, 전라도관찰사, 좌부승지, 경기도관찰사, 판...
-
고려전기 진도에 유배된 인물. 고려 인종 때 척신 이자겸의 아들이다. 1126년(인종 4) 이자겸이 척준경(拓俊京) 등의 거사로 붙잡히는 난이 일어났을 때, 그 처와 큰아들 이지윤이 영광으로 유배되고 다른 아들들도 모두 유배되었다. 그 중 이공의는 진도에 유배되었다. 이공의는 진도군에 유배된 인물로는 최초인 것으로 나타난다. 진도가 고려전기라는 이른 시기에 이미 유배지로 활용되었음...
-
진도에 유배되었던 조선 후기의 문인, 서화가. 본관은 전주.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園嶠) 또는 수북(壽北). 아버지는 예조판서를 지낸 전주이씨 이진검(李眞儉)이다. 이광사는 조선 후기의 명필로서 영조의 등극과 더불어 소론이 실각함에 따라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였다. 큰아버지인 이진유(李眞儒)[1669~1730]가 1755년(영조 31)에 나주벽서사건(羅州壁書事件)으로 처벌...
-
조선 중기의 문신. 비변사의 낭관을 지냈다. 1623년(인조 1) 이순혐이 허위로 계본(啓本)을 만들어 여러 관리들에게 돌리고 왕의 윤허까지 받은 일이 있었다. 그 내용은 “이순혐(李純馦)은 이미 3년이나 되었음에도 아직 실직(實職)으로 공로에 대해 보답하는 은전(恩典)이 없어 쓸쓸해하는 마음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에 해당하는 수령(守令)에 결원이 생기게 되면 우선 제수할 것을...
-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대년(大年). 아버지는 안성군의 호장(戶長)으로 경군(京軍)이 된 이중선(李仲宣)이다. 고려 16대 국왕 예종의 측근 세력인 한안인의 매서(妹壻)이다. 아버지 이중선이 죽은 뒤 영업전(永業田)을 물려받아 서리(胥吏)가 되고자 했으나 정조주사(政曹主事)가 허락하지 않자 숙종 때 과거에 응시, 급제하였다. 직사관, 지경산부(知京山府)를 역...
-
조선 중기 진도로 유배된 상궁. 상궁 이정민(李貞敏)은 1643년(인조 21) 7월 인조의 총애를 받던 조귀인(趙貴人)을 저주했다는 죄목으로 진도로 유배되었다. 상궁 이씨가 여종 애향(愛香) 등과 함께 모의하여 조귀인(趙貴人)을 해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일설에는 조귀인(趙貴人) 스스로 저주 사건을 꾸며내어 상궁 이씨를 모략하기 위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유배된 이정민은 같은 죄목으...
-
조선전기 때 진도로 유배된 이시애의 딸. 이시애(李施愛)는 1467년(세조 13) 함경도민들을 선동해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이 실패한 후, 이시애는 참살되고 그와 관련된 자들은 유배되었다. 그 후 성종 때 이시애의 첩 막금의 아들 이장손(李將孫)과 딸 이흔비(李欣非)가 진도에 유배되었다. 이장손의 생활은 김화(金化)의 관노(官奴) 가구지(加仇之)가 책임지게 하였고, 이흔비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극(士克), 호는 퇴수재(退修齋). 조박(趙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견소(趙見素)이고, 아버지는 감역 조시채(趙始采)이다. 어머니는 최득일(崔得一)의 딸이다. 아내는 변세구(邊世耉)의 딸이다. 형으로 조성집(趙聖集)이 있다. 1681년(숙종 7) 태어났다. 문과 급제 후 지평, 정언, 장령, 헌납 등을 지내다 1723(경종 3)...
-
조선 후기의 유생. 1696년(숙종 22) 7월 21일 방찬(方燦) 등이 장형(張炯)의 묘에 목인(木人)을 묻어 서인을 모해하려 한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이 동궁(東宮, 후일의 경종)에게 불리하다 여긴 채제윤(蔡悌胤)은 강오장(姜五章)과 윤종서(尹宗緖)에게 그 부당함을 상소하기를 권하였다. 소초는 윤종서가 짓고 강오장은 상소문을 썼다. 이 사건은 역적 방찬에 윤종서가 연루되어...
-
조선 중기 진도에 유배된 문신. 자는 국이(國耳). 할아버지는 중추부경력(中樞府經歷)을 지낸 허진(許震)이다. 생원으로 성균관에 들어간 뒤 1615년(광해군 7)에 진사 정택뢰(鄭澤雷) 등 19인과 함께 이원익(李元翼)의 무죄를 호소하는 연명 상소에 참여하였다.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 여론이 나돌자, 대북파의 이이첨(李爾瞻) 등에게 “대비를 폐하면 인심을 잃을 것이니 대비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