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1434 |
---|---|
한자 | 皇甫覲 |
이칭/별칭 | 원직(元直),황보명용(皇甫名容)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조인호 |
출생 시기/일시 | 1882년 11월 17일![]() |
---|---|
활동 시기/일시 | 1906년 3월 - 황보근 산남의진에 참가하여 영천·강구·흥해 등지에서 활약함 |
몰년 시기/일시 | 1963년 5월 3일![]()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 황보근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추모 시기/일시 | 2003년 10월 - 황보근 추모비 건립 |
출생지 | 황보근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구전리
![]() |
활동지 | 황보근 - 경상북도 일원[영천, 영일, 청송 등] |
소재지 | 추모비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동공원![]()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본관 | 영천 |
한말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의병.
황보근(皇甫覲)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원직(元直)이며, 초명은 황보명용(皇甫名容)이다. 1882년 지금의 영천시 화남면 구전리에서 태어났으며 1963년 세상을 떠났다.
황보근(皇甫覲)은 고종황제의 밀명을 받은 정환직(鄭煥直)과 그의 아들 정용기(鄭鏞基)가 이한구(李韓久)·정순기(鄭純基)·손영각(孫永珏) 등과 더불어 1906년 3월 산남의진(山南義陣)을 결성하자 황보근은 권규섭(權奎燮)·성낙희(成樂熙)·성낙호(成樂皥)·이하수(李河秀)·양석용(梁錫容) 등과 함께 신녕 지역을 맡아 활동하였다.
그 후 영천·영덕·강구·흥해 등지에서 수차례 일본군과의 교전에 참전해 혁혁한 공을 세운 황보근은 1907년 8월 정용기 대장을 비롯한 산남의진 본진 100여명과 함께 죽장의 매현으로 들어가 9월 초 강릉으로 북상을 준비했다.
그러나 일본군 영천수비대의 역습을 받고 입암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다가 부상을 입고 귀향하여 치료하던 중 체포되었다. 황보근은 17차례에 걸쳐 고문을 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저항하였으며 석방된 후 은신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2003년 10월 영천항일운동선양사업회에서 영천시 화북면 오동공원에 추모비를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