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민중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영천 지역에는 예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민요가 불려 왔으나, 현재는 농업 노동요와 잡역 노동요가 비교적 널리 전승되고 있다. 대표적인 민요로는 「모내기 소리」와 「어사용」이 있는데, 「모내기 소리」는 일반적으로 교환창으로 부르나, 일부 지역에서는 선후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고...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부녀자들에게 효도를 권장할 때 부르는 규방 가사. 「권효가」는 효도를 주제로 한 규방 가사의 하나이다. 만물 중에 사람이 으뜸인 것은 삼강오륜이 있기 때문이며, 그 가운데 효가 백행의 근본임을 노래하고, 특히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양지효(養志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1996년 영천시에서 발행한 『영천의 민요』에 실려...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과 화산면에서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 「논매기 노래」는 여러 명이 논에서 김을 맬 때 즐겨 부르는 농업 노동요로, 지역에 따라 김매기 노래, 김매기 소리로 부른다. 논매기는 아시논매기와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가 있다. 개인적으로 논을 매기도 하고 여러 명이 품앗이나 두레, 또는 놉을 하여 논을 매기도 한다. 한 필지의 논을 다...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서 장례 때 하관(下官)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 「덜구 소리」는 장례 때 하관 후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영천 지역에서는 달구질을 할 때 봉분을 쌓는 중심에 달굿대 하나를 꼽아 놓고 선소리꾼이 가운데 서서 소리를 메기면, 다른 달구꾼들은 봉분 가장자리를 돌면서 반장단에 한 발씩 밟아 다지며 소리를 받는다. 처음에...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서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면서 부르는 노래. 「도리깨 소리」는 보리를 깔아 놓고 보리 이삭을 터는 작업을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도리깨로 타작하는 곡식이 주로 보리이기 때문에 ‘보리타작소리’라고도 하고, 콩·팥 따위도 도리깨로 타작하기 때문에 그냥 ‘타작노래’라 하기도 한다. 또한 도리깨를 쓰므로 ‘도리깨질소리’라 일컫기도 하며, 타작...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서 땅을 다지기 위해 말뚝을 박으면서 부르는 노래. 「망깨소리」는 큰둑을 쌓거나 집터를 다듬기 위해 땅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망깨’라고 하는 쇳덩이를 들어 올려 말뚝을 박는데, 이 민요를 「말뚝박는 노래」라고도 한다. ‘망깨’에 여러 가닥의 줄을 달아서 여럿이 그 줄을 당겼다가 놓는 일을 되풀이하면 말뚝이 박...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모심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 「모심기 노래」는 모심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일명 ‘모노래’라고도 한다. 여러 명의 일꾼이 논에 늘어서서 모를 심을 때 손을 맞추고 일의 능률을 올리며, 오랜 시간 동안 모를 심을 때 지겨움을 덜기 위해 모노래를 부른다. ‘줄모’를 심을 때도 물론 모노래를 부르지만 ‘벌모’를 심을 때는 모노래를 부르면 작업...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부녀자가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물레 소리」는 길쌈 과정 중 물레를 이용해 실을 짜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길쌈의 과정은 실을 뽑는 일과 베를 짜는 일로 이루어져 있고, 실의 원료로 구분하면 명주·삼베·무명을 다루는 일이 있다. 그 중에서 명주와 무명은 물레를 이용해서, 삼베는 삼삼기를 하면서 실을 뽑는다. 베를 짜는 과정은...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 「방아 타령」은 머슴들이 논매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서 피로를 풀고 여흥을 돋우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옛날에 두레논을 맬 때는 상머슴을 소등에 태우고 농기를 앞세워 이 노래를 부르면서 마을로 들어오기도 했다고 한다. 1996년 영천시가 발행한 『영천의 민요』에 실려 있는데, 이는 MBC 라디오 ‘좋...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부녀자들이 밭에 김을 매면서 부르는 노동요. 「밭 매는 노래」는 콩·팥·조·목화 따위를 심어놓은 밭에서 김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강원도에서는 ‘사디 소리’, 전라도에서는 ‘흥글 소리’, 제주도에서는 ‘검질 매는 소리’라고도 한다. 「밭 매는 노래」를 부르는 곡조는 대개 지역적 특성을 띠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아라리나...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부녀자가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틀 노래」는 부녀자가 베틀에 앉아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베틀가」라고도 한다.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과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여성 민요이다. 봉건 시대의 여인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고달픔을 잊기 위하여 베틀에 앉아 부른 것으로, 영남 지방에서 비롯되어 전국에 널리 퍼졌다. 지방마...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삼 삼는 소리」는 여성들이 삼 삼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영천 지역의 길쌈 노동요에는 「물레 소리」, 「베틀 노래」, 「삼 삼는 소리」 등이 있다. 「베틀 노래」는 베틀 기구의 생김새를 의인화시켜 노래하는 내용이 많은데, 「삼 삼는 소리」에는 기구에 대한 내용은...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혹은 상두꾼으로 불리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소리이다.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이 노래를 불렀고, 현재도 불리고 있다. 노랫말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비슷한 내용의...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놀이 자체를 흥겹게 하기 위해 부르는 유희요. 「생금생금」은 ‘월월이청청’ 놀이를 할 때 부르는 사설로서 전형적인 서사 민요로 「생금생금 생가락지」 또는 「생금생금 쌍가락지」라고도 한다. 사설의 내용은 여동생이 오라버니로부터 이성 관계를 의심받자 스스로 목숨을 끊고 연꽃으로 환생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민속놀이 ‘월...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과 금호읍에서 나무꾼이 산에 나무하러 가서 부르는 노동요. 「어사용」은 주로 머슴들이 부르는 노래로, 산에 가서 나무를 하노라면 늦도록 장가를 가지 못하고 고생만 하는 신세가 더욱 서러워 신세 한탄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어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초부가(樵父歌)」라고 한다. 길게 빼는 구슬픈 곡조를 흔히 ‘메나리’라고 하는 것...
-
일제 강점기 영천 지역 및 만주로 이주한 영천 사람들이 불렀던 아리랑 노래. 「영천 아리랑」은 일제의 혹독한 탄압을 피해 중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향수에 젖어 고향 영천에서 부르던 노래를 되살려 마음으로 불렀던 노래이다. 일제 강점기 만주로 떠난 사람들은 지식층들이 많았고, 특히 예술적 기질로 자유와 억압에 견디지 못하고 정신적인 해방의 길을 찾아 떠난 경우가 많았다....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서 한 해의 안녕과 복덕을 기원하기 위해 정초에 부르는 의식요. 「지신풀이」는 마을굿[당굿]을 한 다음 집집마다 차례로 돌면서 풍물을 치며 집터 곳곳의 지신(地神)을 밟아 달램으로써 한 해의 안녕과 복덕을 기원하는 마을 민속 의례로써 주로 정초에서 정월대보름 사이에 행해진다. 세시 의식요인 「지신풀이」는 「지신밟기 노래」와 「고사요(告祀...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서 호미로 아시[초벌] 논매기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호망질 소리」는 여러 명이 논을 맬 때 즐겨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논매기는 초벌[아시] 논매기와 두벌 논매기, 세벌 논매기가 있는데, 「호망질 소리」는 호미로 초벌 논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호망’은 경상북도 방언으로 ‘호미’를 지칭한다. 영천 지역에는 「두벌 논매기 소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