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복 향교 공덕비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2130
한자 同福鄕校功德碑群
이칭/별칭 향교 흥학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월송길 62-30[연월리 845]
시대 조선/조선,근대/근대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31년 - 김부윤 출생
건립 시기/일시 1586년연표보기 - 김부윤 향교 중수비 건립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98년 - 김부윤 사망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59년 - 김기중 출생
건립 시기/일시 1885년 4월연표보기 - 유달준 흥학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2년 7월연표보기 - 김기중 흥학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04년연표보기 - 김기중 선정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32년연표보기 - 오형남 공적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양수묵 모성비 건립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933년 - 김기중 사망
건립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김수현 모성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문묘 중건 기적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86년연표보기 - 상선계 기적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김행곤 공적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동복 향교 중창 기적비 건립
현 소재지 동복 향교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월송길 62-30[연월리 846]지도보기
성격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 동복 향교 관련 공적비
양식 석비
관련 인물 김부윤|유달준|김기중
재질 석재
크기(높이,너비,두께) 총 높이 175㎝, 비신 높이 113㎝, 너비 75㎝, 두께 19㎝[김부윤 향교 중수비]|총 높이 165㎝, 비신 높이 140㎝, 너비 50㎝, 두께 17㎝[유달준 흥학비]|총 높이 190㎝, 비신 높이 167㎝, 너비 50㎝, 두께 20㎝[김기중 흥학비]|총 높이 156㎝, 비신 높이 156㎝, 너비 52㎝, 두께 21㎝[김기중 선정비]|총 높이 155㎝, 비신 높이 130㎝, 너비 36㎝, 두께 16㎝[오형남 공적비]|총 높이 160㎝, 비신 높이 144㎝, 너비 44㎝, 두께 15㎝[양수묵 모성비]|총 높이 137㎝, 비신 높이 120㎝, 너비 37㎝, 두께 13㎝[김수현 모성비]|총 높이 200㎝, 비신 높이 146㎝, 너비 54㎝, 두께 21㎝[문묘 중건 기적비]|총 높이 180㎝, 비신 높이 150㎝, 너비 54㎝, 두께 24㎝[상선계 기적비]|총 높이 180㎝, 비신 높이 146㎝, 너비 54㎝, 두께 24㎝[김행곤 공적비]|총 높이 250㎝, 비신 높이 145㎝, 너비 55㎝, 두께 25㎝[동복 향교 중창 기적비]
소유자 동복 향교
관리자 동복 향교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의 동복 향교 인근에 있는 공적비군.

[개설]

조선 시대에 동복 현감을 지낸 김부윤·유달준과 개항기 동복 군수를 지낸 김기중이 재임 때에 동복 향교 중수와 흥학에 힘쓴 것을 기려 세운 흥학 공적비이다. 그 외에도 동복 향교와 관련된 공덕비가 동복 향교 입구에 있다.

[건립 경위]

1. 김부윤 향교 중수비

김부윤(金富倫)[1531~1598]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돈서(惇敍), 호는 설월당(雪月堂)이다. 1555년(명종 10)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85년에 동복 현감으로 부임하여 향교를 중수하고 봉급을 털어 서적 800여 책을 구입하는 등 지방 교육 진흥에 많은 공헌을 하였고, 또 학령(學令) 수십조를 만들어 학생들의 교육에도 힘썼다. 이처럼 김부윤이 동복 현감 재임[1585. 10~1590. 10] 때 동복 향교를 중수하는 등 흥학에 힘쓴 것을 기려 흥학비를 세웠다. 흥학비 건립 연기는 비문으로는 확인이 어려우나 기존 조사 자료에서는 1586년(선조 19)으로 표기하고 있다. 한편, 김부윤은 『동복군 읍지』[1899] 선생안에 “을유년 3월에 부임하여 기축년 임기가 만료가 되었지만 1년을 더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1585년 3월~1590년 사이 동복 현감으로 재임했음을 알 수 있다.

2. 유달준 흥학비

유달준(兪達濬)이 동복 현감 재임[1882. 12. 24~1885. 4. 19] 때 흥학에 힘쓴 것을 기려 1885년(고종 22) 4월에 세웠다. 재임 연대로 보아 이임 직후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유달준은 『동복군 읍지』[1899] 선생안에 “임오년 12월 24일 제수되어 을유년 4월 19일에 풍기 군수로 옮겼다[兪達濬 壬午 十二月 二十四日 政除 乙酉 四月 十九日 政移拜 慶尙道豐基郡守]”는 기록이 있다.

3. 김기중 흥학비

김기중(金祺中)[1859~1933]의 본관은 울산이며, 자(字)는 도숙(道淑), 호는 원파(圓坡)이다. 전라북도 부안에서 태어났다. 김성수(金性洙)의 백부(伯父)이자 양부(養父)이다. 1888년(고종 25) 진사에 합격하고, 용담(龍潭)[전북 진안]·평택·동복(同福) 등의 군수를 지냈다. 김기중이 동복 군수 재임[1902. 1. 28~1905. 9. 20] 때 동복 향교 중수에 힘을 보탠 것을 기려 재임 중이던 1902년 7월에 세웠다. 한편,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에는 김기중이 동복 군수 재임 때 선정을 베푼 것을 기념하여 그가 재임 중이던 1904년에 선정비를 세웠다.

4. 기타 공덕비

오형남 공적비는 장의(掌議)로 수년간 재직한 오형남(吳亨南)의 공적을 기념하여 1932년에 세웠다. 양수묵 모성비는 유학자 양수묵의 공적을 기념하여 1933년에 세웠다. 김수현 모성비는 김수현의 선비 정신을 높이어 1935년에 세웠다. 문묘 중건 기적비는 6·25 전쟁으로 파손된 동복 향교를 다시 세우고 이를 기록하고자 1962년에 세웠다. 그 외에도 상선계 기적비[1986], 김행곤 공적비[1996], 동복 향교 중창 기적비[1999] 등이 모여 있다.

[위치]

동복 향교와 공덕비는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 월송 마을에 있다. 동복 초등학교 사거리에서 서쪽 300m 지점의 해운교를 건너 연월리 월송 마을 입구 논길 700m를 가로 지르면 동복 향교가 있고, 향교로 오르는 길가에 비석들이 서 있다.

[형태/금석문]

1. 김부윤 향교 중수비

김부윤이 동복 현감 재임 때에 향교를 중수하고 지방 교육 진흥에 힘쓴 것을 기려 세운 향교 중수 공적비이다. 문양이 있는 장방형의 좌대 가운데에 홈을 파 몸을 세웠다. 비의 머리에도 문양을 조식하였다. 앞면에 “현감 김공부윤 향교 중수비(縣監金公富倫鄕校重修碑)”라 내려쓰기 음각으로 새겼다. 세운 연기 등은 잘 확인되지 않는다. 총 높이 175㎝, 비신 높이 113㎝, 너비 75㎝, 두께 19㎝이다.

2. 유달준 흥학비

유달준이 동복 현감 재임 때에 흥학에 힘을 기울인 것을 기려 세웠다. 장방형의 좌대에 1단의 받침을 조식하고 가운데에 홈을 파 몸을 세웠다. 비의 머리를 갖추지 않은 호패형의 일반형 석비로 윗부분의 양 모서리는 각을 다듬은 말각 형태이다. 앞면에 “현감 유후달준 흥학비(縣監兪侯達濬興學碑)”, 뒷면에 “을유 사월 일 입(乙酉四七 日立)”이라는 연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총 높이 165㎝, 비신 높이 140㎝, 너비 50㎝, 두께 17㎝이다.

3. 김기중 흥학비

김기중이 동복 군수 재임 때에 동복 향교 중수에 힘을 보탠 것을 기려 세웠다. 약간 다듬은 장방형 자연석 좌대에 홈을 파 몸을 세웠다. 비의 머리를 갖추지 않은 호패형의 일반형 석비인데, 위로 가면서 약간 좁아지며 윗부분의 양 모서리는 각을 다듬은 말각 형태이다. 앞면에 “군수 김후기중 향교 중수 흥학비(郡守金侯祺中鄕校重修興學碑)”, 뒷면에 “임인 칠월 일 입(壬寅七月 日立)”의 연기를 내려쓰기 음각으로 새겼다. 총 높이 190㎝, 비신 높이 167㎝, 너비 50㎝, 두께 20㎝이다.

*『동복지』[1915] 관안(官案)[역대 수령 명단]에는 “정관희(鄭觀喜) : 임인[1902] 10월~계묘[1903] 2월, 김기중(金祺中) : 계묘[1903] 4월~을사[1905] 9월”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일성록』을 통하여 김기중의 재임 연도가 1902. 1. 28~1905. 9. 20으로 확인되고 흥학비에도 “임인[1902] 칠월”의 입비 기록이 있어 『일성록』과 흥학비 연기 기록을 따랐다.

4. 김기중 선정비

김기중이 동복 군수 재임 때에 선정을 베푼 것을 기려 세웠다. 앞면에 “군수 김후기중 선정 불망비(郡守 金侯祺中 善政不忘碑)”라 내려쓰기로 새기고, 양 옆에 “남속태형 포정함희 아후성적 주부흠사(藍俗泰亨 蒲政咸熙 我侯聲績 疇不欽思)[남전 여씨 향약처럼 행정을 너그러이 잘 하니 모두가 밝고 태평하네. 우리 원님 공적을 누구인들 우러러 생각지 않으리오].”라는 찬문을 새겼다. 총 높이 156㎝, 비신 높이 156㎝, 너비 52㎝, 두께 21㎝이다.

5. 오형남 공적비

오형남이 장의로 수년간 공적을 쌓은 것을 기념하여 세웠다. 비신에 “거교유년 풍재득의 단행유광 정초불전 벽와수선 양전할시 지인지적 철옹구전 임신년 월 일(居校有年 風裁得宜 壇杏愈光 庭草不纏 碧瓦修繕 良田割施 之人之績 鐵甕俱傳 壬申年 月 日)”라는 송문과 연기를 새겼다. 총 높이 155㎝, 비신 높이 130㎝, 너비 36㎝, 두께 16㎝이다.

6. 양수묵 모성비

양수묵 모성비[靜養居士梁守默慕聖碑]는 비신에 “천질망매 오도난행 의연괴옥 부식윤강 윤의사문 존성극창 수광유원 백세불망 계유년 월 일(天秩茫昧 吾道難行 義捐壞沃 扶植倫綱 允矣斯文 尊聖克彰 遂光儒苑 百世不忘 癸酉年 月 日)[세상이 어지러우니 올바른 도를 실행하기 어려운데 도의를 보존하고 토지를 비옥케 하니 윤리를 부식하였네. 진실한 유학자로 성인을 높이여 능히 들춰내고 드디어 유학 터전을 빛나게 하였으니 오래토록 그 공적 잊지 못하리다. 계유년 월 일]”이라 찬문과 연기를 새겼다. 총 높이 160㎝, 비신 높이 144㎝, 너비 44㎝, 두께 15㎝이다.

7. 김수현 모성비

김수현 모성비[前掌議金洙炫慕聖碑]는 1935년 3월 세웠다. 비신에 “유미일언 송법니부 민이사입 풍교유수 사이거화 교이납토 향의순동 재사이수 을해삼월 일(有美一彦 誦法尼父 民彛斯立 風敎攸樹 士而擧火 校而納土 鄕議詢同 纔辭以竪 乙亥三月 日)[아름다운 큰 선비 공자님 외우고 법 받아 윤리를 세상에 세우고 풍속을 바로 잡았다. 선비 생활 안정하게 하고 향교 땅 늘리니 여러 사람 뜻 모아 이제야 빗돌을 세운다. 을해 3월 일]”이라 찬문과 연기를 새겼다. 총 높이 137㎝, 비신 높이 120㎝, 너비 37㎝, 두께 13㎝이다.

8. 문묘 중건 기적비

문묘 중건 기적비(文廟重建記蹟碑)는 1962년에 세웠다. “오호유아동복 문묘경인선변상인언재 도의중건다사향응 이○성불일고성 기모성향학과하여재 고의조금만 이상순서기적 이표기갱장지의 공부자탄강이천오백십이년 신축춘이월 일(嗚呼惟我同福 文廟庚寅燹變尙忍言哉 圖議重建多士響應 而○誠不日告成 其募聖向學果何如哉 故義助金萬 以上循序記蹟 以表其羹墻之義 孔夫子誕降二千五百十二年 辛丑春二月 日[아! 오직 우리 동복 향교의 경인년(1950, 6·25 전쟁) 불행한 사태를 차마 말할 수 있으리오. 다시 건축할 것을 논의 하였던바 많은 선비들이 이에 호응하여 성의를 다하여 빠른 시일 안에 끝이 나니 그 성인을 높이 받들고 학문을 소중하게 함이 과연 어떠하리오. 그러므로 찬조금 만 원 이상 헌성한 사람은 차례대로 기록하여 그 성의를 표시한다. 1961년 봄 2월 일]”이라 하여 비문은 정태중(丁泰重)이 짓고, 오연경(吳然卿)이 글씨를 썼다. 총 높이 200㎝, 비신 높이 146㎝, 너비 54㎝, 두께 21㎝이다.

9. 상선계 기적비

상선계 기적비(相先契紀蹟碑)는 1986년에 세웠다. 비문은 이범택(李凡澤)이 짓고, 글씨는 김행곤(金行坤)이 썼다. 총 높이 180㎝, 비신 높이 150㎝, 너비 54㎝, 두께 24㎝이다.

10. 김행곤 공적비

김행곤 공적비[石汀金海金公行坤功績碑]는 1996년에 세웠다. 비문은 이진백(李鎭白)이 짓고, 글씨는 이규형(李圭珩)이 썼다. 총 높이 180㎝, 비신 높이 146㎝, 너비 54㎝, 두께 24㎝이다.

11. 동복 향교 중창 기적비

동복 향교 중창 기적비(同福鄕校重刱紀蹟碑)는 1999년에 세웠다. 비문은 동복 향교 전교 이상규(李商圭)가 짓고, 글씨는 유도회 화순 지부장 이규형(李圭珩)이 썼다. 총 높이 250㎝, 비신 높이 145㎝, 너비 55㎝, 두께 25㎝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지방관의 행적은 물론 화순군 동복면 지역 향토사를 알 수 있게 하는 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