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
-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권응심(權應心)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성(仲星), 호는 일성(日省)이며, 1554년(명종 9)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에서 태어났다. 고조는 광주 목사(光州牧使) 권열(權挒)이며 영천 입향조이다. 증조는 증(贈) 호조 참의(戶曹參議) 권처정(權處貞)이며, 조부는 권붕(權鵬)이다. 아버지는 권덕온(權德溫)이며, 어...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권응전(權應銓)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평(子平), 호는 동호(桐湖)이며, 1548년(명종 3) 7월 5일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에서 태어나 1606년(선조 39) 10월 6일 5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광주 목사(光州牧使) 권열(權挒)이며 영천 입향조이다. 증조는 증(贈) 호조 참의(戶曹參...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안동 권씨의 시조인 권행(權幸)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원래는 김씨(金氏)였다. 930년 왕건(王建)의 고려군이 견훤(甄萱)의 백제군과 대치하자 김선평(金宣平), 장정필(張貞弼)과 함께 고창군(高昌郡) 병산에서 백제군과 싸워 크게 이기는 공을 세웠다. 이에 왕건이 고창군을 안동부로 승격하여 식읍(食邑)으로 내림과 동시...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의성 김씨(義城 金氏) 시조는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석(金錫)으로 고려 초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기에 그 후손들이 의성 김씨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8세손 김공우(金公瑀) 대에서 크게 번성했는데, 장자 김용비(金龍庇)는 태자첨사(太子瞻事)를, 차자 김용필(金龍弼)은 수사공(守司空)을, 막내 김용주(金龍珠)는 평장사...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류몽서(柳夢瑞)의 본관은 서산. 1534년에 태어나 1604년(선조 37) 10월 10일 7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진사(進士) 류윤경(柳允庚)이며, 증조는 충순위사전(忠順衛司典) 류수종(柳秀宗), 조부는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이다. 아버지는 봉상시봉사(奉常寺奉事) 류한문(柳漢文)이며, 어머니는 영양 최씨...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류영회(柳榮晦)의 본관은 서산. 자는 사엽(士燁)이며, 1565년(명종 20)에 태어났다. 고조는 충순위사전(忠順衛司典) 류수종(柳秀宗), 증조는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 조부는 봉상시봉사(奉常寺奉事) 류한문(柳漢文)이다. 아버지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류몽서(柳夢瑞)이며, 어머니는 성주 이씨(星州李氏)로 이운양...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신응국(辛應國)은 신경(辛鏡)을 시조로 하는 영산 신씨(靈山辛氏)로 신혁(辛革)을 파조 로 하는 초당공파(草堂公派)이다. 자는 자평(子平)이며, 고조는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신간(辛簡), 증조는 수의부위(修儀副尉) 신형(辛衡), 조부는 종사랑참봉(從仕郞參奉) 신언륜(辛彦倫)이니 영천 입향조이다. 신응국의...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윤종선(尹從善)의 본관은 영천. 자는 경등(慶登)이며, 1573년(선조 6) 1월 26일에 태어났다. 고조는 충무위중부부사직(忠武衛中部副司直) 윤무형(尹畝亨)이고, 증조는 돈용교위(敦勇校尉) 강예원습독관(講隸院習讀官) 윤찬(尹贊), 조부는 순릉참봉(順陵參奉) 윤원좌(尹元佐)이다. 아버지는 증(贈) 이조참의(吏曹參議)...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이국빈(李國賓)의 자는 여관(汝觀), 호는 국헌(菊軒)이며, 1560년(명종 15)에 태어나 1624년(인조 2)에 세상을 떠났다. 고려 개국공신 이능일(李能一)을 시조로 하는 성산 이씨(星山李氏)로, 고조는 수의부위(修義副尉) 이석보(李錫保), 증조는 영천으로 이주한 참봉(參奉) 이방(李芳)이며, 조부는 영릉 참봉(...
-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이즐의 본관은 성산. 자는 심원(深源), 호는 송남(松南)이며, 1610년(광해군 2)에 태어나 1681년(숙종 7)에 7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영천 입향조 참봉(參奉) 이방(李芳)의 아들로 영릉참봉(英陵參奉) 이언기(李彦沂), 증조는 이억령(李億齡), 조부는 장사랑(將仕郞) 정읍훈도(井邑訓導) 이용빈(...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충신. 정광윤(鄭光胤)의 자는 계승(季承), 호는 보강(寶岡)이며, 1550년(명종 5) 4월 18일에 태어나 1611년(광해군 3) 3월 12일 6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영일 정씨(迎日鄭氏)로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며, 봉익대부 행전공판서(奉翊大夫行典工判書)인 정인언(鄭仁彦)과 그의 아들 가선대부(嘉...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충신. 정담(鄭湛)의 본관은 영일. 자는 청윤(淸允), 호는 복재(復齋)이며, 1552년(명종 7) 2월 24일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에서 태어나 1634년(인조 12) 8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며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며, 문과 급제 후 봉익대부행...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충신. 조종대(趙宗岱)는 한양 조씨(漢陽趙氏)로, 조지수(趙之壽)를 시조로 하며, 영천으로 입향한 정릉 참봉(定陵參奉) 조문림(趙文琳)이 고조이다. 증조는 충순위(忠順衛) 조임(趙恁)이고, 조부는 참봉 조원서(趙元緖)이며, 아버지는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증직된 조침(趙忱), 어머니는 수원 김씨(水原金氏)로...
효자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신방리의 효자. 강창언(姜昌彦)은 고구려 말 백마원수(白馬元帥)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는 진주 강씨 후손으로 1811년(순종 원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강우석(姜遇錫), 어머니는 청도 김씨이다. 부인은 전주 이씨 이달주(李達周)의 딸로, 슬하에 네 아들이 있으니 강재정(姜在廷)·강재하(姜在夏)·강재익(姜在翊)·강재주(姜在朱)이다...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권목(權穆)의 본관은 안동. 자는 심중(深仲)으로 1643년 5월 21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서 태어났다. 고조는 통훈랑(通訓郞) 울산훈도(蔚山訓導) 권해(權楷)이며, 증조는 증(贈) 공조참판(工曹參判) 권극립(權克立), 조부는 수직(壽職) 절충호군(折衝護軍) 권봉(權崶)이다. 권목의 아버지는 권구민(權求敏), 어머...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권익(權釴)의 본관은 안동. 1643년(인조 21)에 태어나 1689년(숙종 15)에 4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통사랑(通仕郞) 권덕온(權德溫)이며, 증조는 어모장군(禦侮將軍)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 권응기(權應箕), 조부는 통덕랑(通德郞) 권신립(權信立)이다. 아버지는 권시경(權是經)이며, 어머니는 경주 최씨(慶州崔氏...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김도원(金道源)은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고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영분공(永芬公) 김명종(金鳴鍾)을 1세조(世祖)로 하는 경주 김씨(慶州金氏)의 후손이며, 18세(世) 김을초(金乙軺)를 파조(派祖)로 하는 규정공파(糾正公派)로서, 김을초의 장남 호연당(浩然堂) 김자양(金自養)이 영천 입향조이다. 김도원의 자는...
-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효자. 김두황은 가야(加耶)의 김수로왕(金首露王)을 시조로 하고, 절효공(節孝公) 김극일(金克一)과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등을 배출한 김해 김씨(金海 金氏) 삼현파(三賢派) 후예이다. 자는 원서(元瑞), 호는 성암(省菴)이며, 1817(순조 17) 5월 7일에 태어나 1869(고종 6) 3월 11일 53세를 일기로 세...
-
조선 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효자. 김언태(金彦泰)는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고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영분공(永芬公) 김명종(金鳴鍾)을 1세조(世祖)로 하는 경주 김씨(慶州金氏)의 후손이며, 18세(世) 김을초(金乙軺)를 파조(派祖)로 하는 규정공파(糾正公派)이다. 초명(初名)은 김종언(金鍾彦), 자는 응률(應律), 호는 우헌(愚軒)이다. 1...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류근회(柳根晦)는 고려 개국공신 류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문화 류씨(文化柳氏)의 9세손으로, 1252년(고려 고종 39)에 문과에 급제하여 첨자광록대부(僉紫光祿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서녕부원군(瑞寧府院君)에 봉해진 류성간(柳成澗)을 시조로 하는 서산 류씨(瑞山柳氏)로 분관(分貫)되었다. 류근...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박경립의 자는 도보(道甫), 호는 운남(雲南)이며, 1576년(선조 9)에 태어나 1661년(현종 2) 5월 25일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 박정(朴珽)이며, 증조는 의성교수(義城敎授) 박윤청(朴允淸), 조부는 승사랑승의부위(承仕郞承議副尉) 박석(朴碩)이다. 아버지는 만호(萬戶) 박인로(朴仁老)...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박래효(朴來孝)는 향리(鄕吏) 박재신(朴在新)의 아들로, 아버지가 병이 들자 때 아닌 물오리와 토끼 고기를 원하기에 백방으로 찾아 구해 드렸으며, 남제(南齊)의 효자 유검루(庾黔婁)처럼 병의 깊이를 알기 위해 변(便)을 맛보았다. 아버지의 상처에서 입으로 고름을 빨아내며 하늘에 빌기를 “저를 대신 아프게 해주옵소서”라고 하였더니,...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밀양 박씨(密陽朴氏)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元祖)로 하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진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하고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영천에 세거하는 밀양 박씨는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 과거에 급제하여 재상에 오르고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 대광보...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박사순(朴士恂)의 자는 명백(明白), 호는 백보(白甫)이며, 1564년(명종 19)에 태어났고 몰년은 알 수 없으나 1월 9일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풍천군수(豊川郡守)를 지내고 영천에 입향한 박영손(朴英孫)이며, 증조는 승사랑(承仕郞) 박숙(朴琡), 조부는 장사랑(將仕郞) 박윤화(朴允和)이다. 아버지는 선릉참봉(宣陵參奉) 박려(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효자. 박수항(朴守恒)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이경(彛卿), 호는 백원재(百源齋)이다. 고조는 생원(生員) 박순효(朴舜孝)이며, 증조는 생원(生員) 박전(朴 專아래 心), 조부는 학정(學正) 박성세(朴聖世)이다. 아버지는 박평(朴枰)이며, 어머니는 오천 정씨(烏川鄭氏)로 지평(持平) 정만양(鄭萬陽)의 딸이다. 부인은 월성 손씨(...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효자. 박종인(朴鐘仁)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영식(永植), 호는 연호(淵湖)이다. 고조는 군자감 참봉(軍資監參奉) 박수성(朴守湦)이며, 증조는 박희구(朴希熰), 조부는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박대원(朴大元)이다. 박종인의 아버지는 박치도(朴致道)이며, 어머니는 월성 이씨(月城 李氏)로 이용하(李龍河)의 딸이다. 부인은 영인(...
-
한말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방학기의 본관은 온양, 1879년(고종 16)에 태어났다. 고조는 방일만(方日萬)이며, 증조는 방후룡(方厚龍), 조부는 방덕환(方德煥)이다. 아버지는 방원규(方圓奎)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부인은 김해 김씨(金海 金氏)로 김진채(金振彩)의 딸로 슬하에 1남 2녀를 두니 아들 방형식(方亨植)과 사위 정원덕(鄭源德)·이종대...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대구 서씨(大丘徐氏) 서복래(徐復來)의 자는 일초(一初), 호는 성재(惺齋)이며, 1657년(효종 8) 1월 11일에 태어나 1706년(숙종 32) 3월 19일 5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훈련원봉사(訓練院奉事) 서경치(徐景穉)이며, 증조는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서도립(徐道立), 조부는 서강지...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서성보(徐聖輔)의 자는 비경(棐卿), 호는 분암(憤庵)이며, 1749년(영조 25) 5월 2일에 태어나 1820년(순조 20) 4월 26일 7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서성보의 동생 서동보(徐東輔) 또한 효자이다. 자는 자익(子翊), 호는 아헌(阿軒)이며, 1759년(영조 35) 7월 1일에 태어나 1811년(순조 20) 4월...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서성직(徐聖稷)의 본관은 대구. 자는 계주(啓周)이며, 1718년(숙종 44) 5월 14일에 태어나 1748년(영조 24) 3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서행달(徐行達)이며, 증조는 서대래(徐大來), 조부는 서지해(徐至海)이다. 아버지는 서유민(徐愈敏)이며, 어머니는 여주 이씨(驪州李氏)로 진사(進士) 이덕표(李德標)의 딸...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서유민(徐愈敏)의 본관은 대구. 자는 내적(乃績), 호는 누항(陋巷)이며, 1692년(숙종 18) 12월 16일에 태어나 1727년(영조 3) 1월 2일 3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서유민의 고조는 선무랑(宣務郞) 서강인(徐疆仁)이며, 증조는 서행달(徐行達), 조부는 서대래(徐大來)이다. 아버지는 서지해(徐至海)이며, 어머니는...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서일상(徐日祥)은 양인(良人)[양반과 천민 사이의 중간 계층을 이르는 말] 막동(莫同)의 아들이다. 나이 12세 때 형인 서정남(徐貞男)과 더불어 산에 올라 나무를 하다가 호랑이가 갑자기 뛰쳐나와 형을 물자, 서일상은 울부짖으면서 낫을 휘둘러 호랑이의 정수리를 찍었다. 이에 호랑이는 물고 있던 형을 놓고 달아나니 형을 부축하여 집으...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손덕침(孫德沈)의 본관은 밀양. 자는 사원(士源), 호는 모헌(慕軒)이며, 1537년(중종 32)에 태어나 1596년(선조 29) 12월 16일 6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영천 입향조(入鄕祖) 손순조(孫順祖)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헌릉참봉(獻陵參奉)에 제수되었고, 증조는 현감(縣監) 손후륜(孫厚倫), 조부는 현감(縣監)...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손두남(孫斗南)의 본관은 밀양. 자는 사앙(士昻), 호는 추암(楸庵)이며, 1681년(숙종 7) 1월 8일에 태어나 1753년(영조 29) 1월 22일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손흥운(孫興雲)이며, 증조는 손경후(孫慶後), 조부는 손만록(孫萬祿), 아버지는 손한린(孫漢麟)이며, 어머니는 달성 서씨(達城徐氏)로 서행민(...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손주(孫胄)의 본관은 밀양. 자는 백로(伯老), 호는 노암(老巖)이며, 1491년(성종 27) 태어나 1552년(명종 7) 12월 11일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부여현감(夫餘縣監) 손문례(孫文禮)이며, 증조는 영천 입향조(入鄕祖) 손순조(孫順祖)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헌릉참봉(獻陵參奉)에 제수되었다. 조부 손후륜(孫厚倫)과 아버지 손...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영산 신씨(靈山辛氏)의 시조는 고려 인종(仁宗) 때 중국에서 사신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귀화한 후 문과에 급제하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고, 정의(貞懿)라는 시호(諡號)를 받은 신경(辛鏡)이다. 후손들은 시조 신경이 처음 정착한 영산(靈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잇게 되었으며, 8세(世)...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신이행(申以涬)은 아주 신씨(鵝洲申氏)로 회당(晦堂) 신원록(申元祿)의 5세손이다. 신이행은 효성이 지극하여 나이 겨우 9세에 혼정신성(昏精晨省)[아침 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살피는 것]과 공양(供養)의 절도를 배우지 않고도 능하였다. 성장하여 어머니가 병이 들자 옷에는 띠를 풀지 않고 입에는 이를 드러내지 않았으며, 남...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청주 양씨(淸州楊氏)의 시조인 양기(楊起)는 공민왕(恭愍王)이 북경에 머무르다가 왕위에 오르기 위하여 1351년(고려 충정왕 3)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와 함께 귀국할 때 노빈도령(魯嬪都令)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체찰사(軆察使) 노국삼명사신(魯國三命使臣)으로 고려로 들어왔다. 후에 고려에 귀화하니 벽상삼한창국공신(壁上三韓昌...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양실근(楊實根)의 본관은 청주. 1867년(고종 5) 9월 7일에 태어났고, 사망한 해는 알 수 없으나 11월 13일에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양영상(楊永尙)이며, 증조는 양귀천(楊貴天), 조부는 양손업(楊遜業)이다. 아버지는 양우덕(楊遇德)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부인은 영인(令人) 월성 이씨(月城李氏)로 이규일...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윤필성(尹弼成)의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주석(柱錫)이고 1794년(정조 18)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호남리에서 태어나 1850년(철종 원년) 1월 2일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윤경언(尹慶彦), 증조는 윤면교(尹勉敎), 조부는 윤수인(尹守仁)이다. 아버지는 윤순대(尹順大)이며 어머니는 영양 최씨(永陽崔氏)이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경주 이씨(慶州李氏)의 시조는 알천양산촌장 이알평(李謁平)이며,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 이씨의 세계는 중시조 이거명의 16대손[고려 말기]에서 크게 8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평리공파(評理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국...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이득봉(李得鳳)의 본관은 벽진. 자는 성서(聖瑞), 호는 귀촌(歸村)이며, 1573년(선조 계유)에 태어났으며, 몰년은 알 수 없고 12월 26일에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경력(經歷) 이진산(李震山)이며, 증조는 군자감참봉(軍資監參奉) 이팽조(李彭祖)이니 칠곡 월오(月塢)에서 영천시 고경면 추곡리로 이거(移居)하여 후손이 세거하게...
-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조선 후기 효자. 이승화의 자는 내윤(乃允), 호는 참오정(參五亭)이다. 이승화(李承和)는 고려 초기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고울군(高鬱君)[영천의 옛 이름]에 봉해진 이문한(李文漢)을 시조로 하고, 고려 때 좌명공신(佐命功臣) 신호위대장군(神號衛大將軍)을 지내고 영양군(永陽君)에 봉해진 이대영(李大榮)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영천...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이시복(李時復)은 고려 개국공신 이능일(李能一)을 시조로 하는 성산 이씨(星山李氏) 후손이다. 처음 영천에 입향한 사람은 17세(世) 이석보(李錫保)의 넷째아들 이방(李芳)으로 이시복의 9대조가 된다. 이시복의 자는 내백(來伯), 호는 신와(愼窩)이며, 1758년(영조 34)에 태어났다. 고조는 통덕랑(通德郞) 이기(李淇...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효자. 이재학(李在鶴)의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경제(慶堤), 호는 백원재(百源齋)이며 1880년(고종 17) 9월 13일에 태어났다. 고조는 이창번(李昌蕃)이며, 증조는 이장영(李章霙), 조부는 이덕수(李德秀)이다. 아버지는 이영백(李永白)이나 숙부 이화백(李和白)에게 출계하였다. 부인은 월성 최씨(月城 崔氏)로 최세진(崔世瑨)...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이치두(李致斗)의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경칠(景七), 호는 죽오(竹塢)이며, 1824년(순조 24)에 태어나 1889년(고종 28) 10월 4일 6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통덕랑(通德郞) 이만휘(李萬輝)이며, 증조는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 판윤(漢城判尹) 이광옥(李光玉), 조부는 통덕랑(通德郞) 이경...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이필영(李弼榮)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은설(殷說)이며, 1797년(정조 21) 3월 7일에 태어나 1847년(헌종 13) 12월 15일 5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수문장(守門將) 이시원(李時元)이니 현재의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상리리로 처음 옮겨 살았으며, 증조는 이흥춘(李興春), 조부는 이재발(李再發)이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이희영(李曦榮)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중(成重), 호는 동포(東圃)이며, 1849년(헌종 15) 1월 2일에 태어나 1925년 2월 11일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중추부사(中樞府事) 이덕룡(李德龍)이며, 증조는 이수억(李壽億), 조부는 이시춘(李時春)이다. 아버지는 이유화(李裕華...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장원호(蔣元琥)는 사인(舍人) 장시술(蔣時述)의 아들로,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모심에 효도가 극진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어 붕어를 드시고 싶어하셨는데, 때는 겨울이라 강이 얼어붙어 낚시를 드리울 수 없었다. 장원호는 얼음에 구멍을 뚫고 울부짖으며 하늘에 빌면서 낚시를 드리우자 물고기가 홀연히 물리는 것이었다....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정대걸의 본관은 나주, 자는 주서(周瑞), 호는 경와(敬窩)이며, 1830년(순조 30)에 태어나 1857년 5월 21일 2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정인태(丁麟泰)이며, 증조는 정덕열(丁德烈), 조부는 정사상(丁師尙),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부호군(副護軍) 정성교(丁成敎)이며,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 제주 고씨...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정동빈(鄭東彬)은 노모를 봉양함에 극진하여 효자로 소문이 났다. 어머니가 설사가 나서 살아 있는 물고기를 드시고자 원하였으나, 때가 마침 한 겨울이어서 잡기가 곤란했는데 칠성장어[또는 숭어라고도 함]가 저절로 도랑에서 나와 이를 잡아 드렸다. 또한 부엉이가 살아 있는 꿩을 떨어뜨리기에 가져다가 음식을 해드렸더니 바로 신비한 효험이...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영일 정씨(迎日鄭氏)[오천 정씨]는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며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고 있다. 영천 전촌(錢村)에 옮겨 살게 된 것은 문과 급제 후 봉익대부행전공판서(奉翊大夫行典工判書)인 정인언(鄭仁彦)과 그의 아들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 정광후(鄭光厚) 때부터이다. 정수...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정억(鄭嶷)의 본관은 영일(迎日). 고조는 장수도 찰방(長水道察訪) 정이휘(鄭以揮)이며, 증조는 직장(直長) 정차순(鄭次諄), 조부는 참봉(參奉) 정호(鄭灝)이다. 아버지 어모장군(禦侮將軍) 정경희(鄭景禧)이며, 어머니는 고령 김씨(高靈 金氏)로 김명견(金命堅)의 딸이다. 아우 정잠(鄭岑)도 지극한 효성으로 정려되었다....
-
조선 중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충신.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이며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을 시조로 하는 영일 정씨(迎日鄭氏)[오천 정씨]는 문과 급제 후 봉익대부행전공판서(奉翊大夫行典工判書)를 지낸 정인언(鄭仁彦)과 그의 아들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 정광후(鄭光厚)부터 영천 전촌(錢村)에 옮겨 살았다. 정의번(鄭宜...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정치규(鄭致奎)의 본관은 영일. 자는 경오(景五)이며, 1812년(순조 12)에 태어나 1833년 4월 15일 2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효자 정수강(鄭壽崗)의 5세손으로, 고조는 정일현(鄭一玄), 증조는 정하종(鄭夏宗), 조부는 정발(鄭撥)이다. 아버지는 정필형(鄭弼衡)이며, 어머니는 여강 이씨(驪江李氏) 이준상(李駿祥)의...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조경온(曺景溫)의 본관은 창녕. 자는 여율(汝慄), 호는 임계(林溪)이며, 1548년(명종 3) 5월 9일에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삼창리에서 태어났다. 고조는 장사랑(將仕郞) 조계조(曺繼祖)이며, 증조는 정릉참봉(貞陵參奉) 조응하(曺應河), 조부는 경릉참봉(敬陵參奉) 조영(曺英)이다. 아버지는 정릉참봉(貞陵參奉) 조희장(曺希章)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하전철(河全澈)은 역리(驛吏)로서 효성이 지극했다. 나이 8세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어른처럼 슬퍼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묘소의 곁에 여막을 짓고 81세에 이르기까지 한 번도 집에 내려오지 않았기에 주위의 칭송이 있었으며, 도신(道臣)이 이를 알려 급복(給復)[공이 있는 자에게 세금을 면제해 주는 것]되었다....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자. 황보성(皇甫星)은 고려 초 상장군(上將軍) 황보능장(皇甫能長)을 시조로 하는 영천 황보씨(永川皇甫氏)의 후손이다. 5대조 황보덕(皇甫德)이 장기(長鬐)[포항시 장기면]에서 영천으로 이주하였으며, 고조는 황보령(皇甫齡), 증조는 황보남(皇甫楠), 조부는 황보익(皇甫益), 아버지는 황보탈(皇甫侻)이며 어머니는 영천 이씨 영양군(永陽君)...
열녀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권성필(權成弼)의 부인 열녀 이씨(李氏)는 연산군(燕山君) 때에 남편이 죽임을 당하자 몰락하여 관비(官婢)가 되었다. 이씨는 남편은 죄 없이 죽었다고 여겨 스스로 목을 매고자 하였지만 시어머니가 말려 뜻을 이루지 못 했다. 사람들이 그를 범하고자 하였으나 이씨는 늘 차고 다니던 작은 칼로 스스로를 찔러 죽음으로써 범할 수가 없었다....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김씨(金氏)는 김극례(金克禮)의 딸로서, 혼례 후 시댁에 가지 못하고 임진왜란을 만나 왜적에게 잡혔다. 적에게 강제로 안겨서 말에 올라 떠날 때, 김씨는 차고 다니던 작은 칼을 빼내 스스로를 찔러 죽었고,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되었다....
-
근대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이자희(李慈喜)는 월성 이씨(月城李氏)로 이집원(李集元)과 의성 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1886년(고종 23) 12월 19일에 태어나 1963년 8월 24일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남편은 김태곤(金台坤)으로, 아버지 종사랑(從仕郞) 김기호(金棋昊), 어머니 전주 이씨(全州李氏) 사이에서 1886년 5월 10일에 태어나 1939년 1...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열부. 증(贈) 정부인(貞夫人) 월성 손씨(月城孫氏)는 손영덕(孫永德)의 딸이며, 1838년(헌종 4)에 태어났다. 남편은 김찬식(金燦植)의 아들 김현학(金顯學)이며, 어머니는 영양 최씨(永陽崔氏)이다. 후사(後嗣)가 없어 아우 김현인(金顯仁) 아들 증(贈)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 김관배(金寬培)로 뒤를 이었다. 김현학의...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월성 정씨(月城鄭氏)는 정필용(鄭弼容)의 딸로 부군(夫君)은 방일로(方逸老)이다. 방일로는 온양 방씨로 영천 입향조인 방이복(方以福)의 후예이다. 방일로의 고조는 방이복의 5세손 방덕흡(方德洽)이며, 증조는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중추부사(中樞府使) 방세적(方世迪), 조부는 통덕랑(通德郞) 방선원(方善圓)이다. 아버...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최씨(崔氏)는 사인 최익찬(崔翼燦)의 딸이며, 군의 사인 손붕구(孫鵬九)의 아내이다. 열녀 최씨(崔氏)는 나이 17세에 혼례를 올린 후 시댁에 가니 남편이 병이 있어 아침저녁으로 정성을 다해 돌보며 ‘내 몸으로 대신하게 해 달라’며 하늘에 빌었다. 급기야 남편이 죽자 습렴(襲殮)의 도구들을 친히 스스로 마름하면서도 시부모님 모시기를 평소...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여주 이씨(驪州李氏)는 판관(判官) 이태주(李泰周)의 딸이며, 남편은 안서중(安瑞重)이다. 안서중의 자는 공신(公信)이며, 아버지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안경시(安景時)와 최남걸(崔南杰)의 딸인 어머니 월성 최씨(月城崔氏) 사이에서 1738년(영조 14)에 태어나 1777년(정조 원년) 11월 26일 4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안영중(安榮重)의 처 열녀 월성 손씨(月城 孫氏)는 손성도(孫星度)의 딸로 1786년(정조 10)에 태어났으며, 1814년(순조 14) 9월 24일 2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남편 안영중은 고려의 매염진국장군(梅塩鎭國將軍)이며 광릉군(廣陵君)인 안방걸(安邦傑)을 시조로 하는 광주 안씨(廣州 安氏)로 좌랑(佐郞) 안증(安嶒)이...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오위장 이득운(李得運)의 딸이며, 이계문(李啓文)의 아내이다. 열녀 이씨(李氏)의 아버지 이득운(李得運)은 여러 차례 벼슬을 쫓아 경성에서 살다 결국 객지에서 죽었다. 당시 이씨는 어린 소녀였으나 널을 붙잡고 고향으로 운구하여 장례를 치르고, 스스로 이계문과 혼인하여 부도(婦道)를 행하였다. 남편의 상을 당하여서도 상례의 범절을 일일이 몸소...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단인(端人) 일선 김씨(一善 金氏)는 진사(進士) 김건준(金建準)의 딸로, 성산인(星山人) 이세하(李世賀)의 부인이다. 이세하는 고려 개국공신 이능일(李能一)을 시조로 하는 성산 이씨(星山李氏) 후손으로, 처음 영천에 입향한 사람은 17세(世) 이석보(李錫保)의 네째 아들 이방(李芳)이 이세하의 6대조가 된다. 이세하의...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부. 연주 현씨(延州玄氏)는 현성구(玄聖龜)의 딸로 1873년(고종 10)에 태어났으며, 남편은 이수상(李秀祥)이다. 이수상은 아버지 이종한(李宗漢)과 어머니 함평 정씨(咸平鄭氏) 사이에서, 1870년(고종 7) 2월 12일에 태어났다. 슬하에 3남을 두니 이기헌(李基憲)·이기준(李基俊)·이기조(李基祚)이다. 연주 현씨는 4형...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흥해 사인 정사익(鄭四益)의 딸이며, 본군의 사인 이우협(李虞莢)의 아내이다. 열녀 정씨(鄭氏)는 적들이 집에 들어와 장차 남편이 될 이우협을 해치려 하자 팔을 벌려 막으면서 말하기를 “남편이 무슨 죄가 있는가? 차라리 나를 죽여라”라 하여 대신 창칼을 받아 죽어 이우협을 살렸다. 1704년(숙종 30)에 이 사실이 알려져 정려되었...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김해 김씨(金海金氏)는 김선중(金先仲)의 딸로 남편은 이종근(李鍾根)이다. 이종근은 경주 이씨(慶州李氏)로, 자는 치문(致文)이며,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이규선(李圭善)이고, 어머니는 능주 구씨(綾州具氏)이다. 슬하에 1남을 두니 이성우(李成雨)이다. 열녀 김해 김씨는 이종근의 처로 가세가 빈한함에도 불구하고 참고 견디며 지극히 지아...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이택화(李澤和)의 처 정부인(貞夫人)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1854년(철종 5) 9월 26일에 태어났으며, 통덕랑(通德郞) 권여택(權與宅)의 딸이다. 이택화의 본관은 영천, 고조는 이성부(李聖溥)이며, 증조는 이학배(李學培), 조부는 참봉(參奉) 이중권(李中權)이다. 아버지는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근대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열부. 효열부(孝烈婦) 김해 김씨(金海金氏)는 김경용(金慶鏞)의 딸로 1933년에 태어났으며, 남편은 이혜우(李惠雨)이다. 이혜우의 자는 기은(基殷)이며, 아버지 이종명(李鍾明)과 허용(許龍)의 딸인 어머니 하양 허씨(河陽許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남편 이혜우와 사이에서 1녀를 두었고, 사위는 강릉인(江陵人) 함진수이다. 김해 김씨는 이혜우와...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정유인(鄭裕仁)의 처 밀양 박씨(密陽朴氏)는 박형태(朴亨泰) 딸이다. 정유인은 호수(湖叟) 정세아(鄭世雅)의 후손으로, 고조는 정기양(鄭岐陽), 증조는 정일종(鄭一宗), 조부는 정하시(鄭夏時), 아버지는 정진휴(鄭軫休), 어머니는 영산 신씨(靈山 辛氏) 신명신(辛命新)의 딸이다. 밀양 박씨는 슬하에 후사(後嗣)가 없어 정...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효자 정치규(鄭致奎)의 처 의성 김씨(義城金氏)의 증조는 김익범(金益範)이며, 조부는 김준익(金俊翼), 아버지는 김완(金琬)이다. 부군(夫君)인 영일 정씨(迎日鄭氏) 정치규(鄭致奎)는 효자(孝子) 정수강(鄭壽崗)의 5세손으로, 고조는 정일현(鄭一玄), 증조는 정하종(鄭夏宗), 조부는 정발(鄭撥), 아버지는 정필형(鄭弼衡)이다. 어머니는 여강...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유씨(柳氏)는 사인 유하극(柳河極)의 딸이며, 사인 조광열(趙光烈)의 아내이다. 열녀 유씨는 시집을 간 뒤 몇 달 만에 남편의 초상을 만나니, 상례에 따라서 조용히 장례를 준비하며 시부모님 모시기를 평소와 다름없게 하였다. 장례일이 이르자 같이 죽을 생각으로 스스로 빈소에서 목매어 죽었다. 1792년(정조 16)에 사실이 알려져 정려(旌...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최경제(崔經濟)의 처 문화 류씨(文化柳氏)의 증조는 참판(參判)을 증직 받은 류보(柳葆)이며, 조부는 참봉(參奉)으로 승지(承旨)를 증직 받은 류연양(柳延陽), 아버지는 류요신(柳堯臣)이다. 부군(夫君)인 최경제의 고조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영해도호부사(寧海都護府使) 최치온(崔致溫)이며, 증조는 선무랑(宣武郞) 밀양훈도(密陽訓導)...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효부. 효부(孝婦) 수원 백씨(水原白氏)는 1847년(헌종 13)에 태어났다. 남편은 최득선(崔得先)이며, 아버지 최순황(崔舜凰)과 어머니 안동 김씨(安東金氏) 사이에서 1843년(헌종 9)에 태어나 1876년(고종 13) 5월 11일 3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슬하에 아들 최일룡(崔馹龍)이 있다. 수원 백씨는 경주 최씨 문중에 시집...
-
조선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하성(河姓)은 향리(鄕吏)인 한응규(韓應奎)의 아내로, 남편 한응규가 죽은 후 10년 동안 한 번도 빗질도 않고 목욕도 하지 않자 일가들이 상복(喪服)을 벗도록 권하였으나 죽음에 이르도록 벗지 않고 울다가 병으로 거적 위에서 죽으니 고을 사람들이 열부라 칭송하였다. 이로 인하여 암행어사가 계장(啓狀)을 보내 급복(給復) 50부(負)를 내...
-
조선 중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열녀. 열녀 정씨(鄭氏)는 의흥 사인 홍성영(洪聖瀛)의 아내이다. 혼례 후에 남편 홍성영을 따라 경상북도 영천군의 서북쪽 북습리에서 우거하였다. 남편이 병으로 일찍 죽으니, 정씨는 곡을 하고 가슴을 치면서 애통해 하며 곡기를 끊었다. 주위에서 안타깝게 여겨 입안에 물을 떠 넣어주어도 삼키지 않고 9일 만에 드디어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1676년(숙...
충노
-
조선 전기 경상북도 영천 출신의 백암(柏巖) 정의번(鄭宜藩)의 노비. 임진왜란 때 영천 지역의 의병들은 영천성 탈환의 여세를 모아 경주성 탈환 전투에 참전하게 되었다. 정의번은 늘 앞장서서 적을 공격했고, 그의 종 억수는 충실히 주인을 보필했다. 그러나 적군이 기병을 투입하여 아군의 뒤쪽을 공격하고, 앞쪽에 매복했던 병사들이 일시에 공격을 해오자 아군은 당황하기 시작하였으며, 주력...
-
고려 후기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노비. 충비(忠婢)인 제비[연아(燕娥)]는 최원도(崔元道)의 노비이다. 최원도는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남대 사간(南臺司諫)에 이르렀다. 최원도는 신돈(辛旽)이 득세하여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영천에 내려와 은거하고 있었다. 최원도와 같은 해에 과거에 급제한 둔촌(遁村) 이집(李集)[1314-1387]이 개성에...